우울증 일으키는 유전자 찾았다
한국뇌연구원 구자욱 정윤하 박사팀 국제연구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정윤하 선임연구원(왼쪽)과 구자욱 책임연구원.(뇌연구원 제공)© 뉴스1 |
우울증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았다. 앞으로 우울증 진단이나 치료제 개발에 새 장이 열릴 전망이다.
한국뇌연구원(KBRI)은 구자욱·정윤하 박사와 미국 마운트사이나이 대학이 공동연구를 통해 사회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증을 일으키는 새 유전자 'Gadd45b'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울증은 유전적 요인보다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테면 지속적인 갈등과 폭력 등 사회적 스트레스 현상이 우울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같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사람마다 우울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른데 이에 대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 뇌 보상회로인 측좌핵에서 뉴런의 발생·분화·성장에 관여하는 물질인 '뇌성장유래인자'가 우울감을 유발한다고 알려졌지만 자세한 기작은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쥐(마우스) 실험을 통해 우울감에 대한 작용기전 규명에 나섰다. 연구팀은 마우스에게 장기 사회패배 스트레스(CSDS)를 준 뒤 우울행동을 많이 보인 그룹(스트레스 취약군)을 조사했다. 그러자 'Gadd45b'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CSDS는 군대나 학교폭력 등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관계에 오래 노출됐을 때 나타나는 스트레스로 우울증의 원인이 된다.
유전자 'Gadd45b'는 평소 억제된 몇몇 타깃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행동을 만들었다. 유전자에서 활성을 억제하는 메틸(CH₄)기를 떼어내는 'DNA 탈메틸화' 기전이 발생하면 우울행동을 일으켰다. 뇌성장유래인자(BDNF)가 포함된 신호전달 체계에서 'Gadd45b'라는 유전자가 개인에 따라 달라지는 우울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힌 것. 'Gadd45b'는 본래 신경가소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알려졌으며 기억이나 학습 과정에도 작용한다
구자욱 박사는 "후속 연구를 통해 특정 개체가 사회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취약한 이유와 이런 성향이 자식에게 유전되는지 여부를 규명할 것"이라면서 "우울증 진단과 치료제 연구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