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현관문’으로 화제된 강남 임대 아파트, 1년 지난 지금은?
집의 현관문이 커다란 통유리로 돼 있다면 어떨까요
?
집 앞을 오고 가는 사람들이 집안을 훤히 들여다볼 수 있다면 상당히 불편할 것 같은데요
.
실제로 국내에 현관문을 통유리로 만든 아파트가 있습니다
.
처음 디자인이 공개됐을 때부터 화제가 됐고
,
주민들이 입주할 땐 큰 논란이 생겼는데요
.
과연 현관문을 통유리로 만든 이 아파트는 지금은 어떤 모습일까요
?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새로운 디자인의 임대주택
통유리 현관문 아파트는 강남구 자곡동에 위치한 강남보금자리 주택 지구
3
단지
(
이하
LH 3
단지
)
입니다
.
이 아파트는 한국토지주택공사
(LH)
가 저소득층을 위해 지은 임대주택인데요
.
영구임대주택
192
세대와 국민임대주택
873
세대
,
총
1,065
세대가 거주할 수 있는 아파트입니다
. LH 3
단지는
2010
년 국토교통부가 특별건축구역으로 선정하며 그린벨트를 해제해 임대주택으로 개발한 구역이기도 합니다
.
아름다운 도시경관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별건축구역에 선정된
LH 3
단지는 참신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의 아파트로 지어져야 했는데요
.
이 때문에
LH
에서는 이 아파트에 대한 국제현상공모를 진행했습니다
.
여기서 당선된 것이 책
‘
마음을 연결하는 집
’
으로 유명한 일본인 건축가
‘
야마모토 리켄
’
이었습니다
.
야마모토 리켄은 함께 모여 사는 사람들이 공간을 공유해야 한다는
‘
지역사회권
’
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주장한 건축가이기도 합니다
.
마당을 공유하는 아파트
야마모토 리켄이
LH 3
단지의 현관문을 통유리로 설계한 이유 역시 본인이 주장한 지역사회권이라는 개념을 건축물에 투영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은 한옥에서 주택
,
주택에서 아파트로 변화했는데요
.
그러면서 우리의 주거문화에서 사라진
‘
마당
’
과
‘
사랑방
’
을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 함께 공유하자는 목적이었죠
.
사랑방의 역할을 하는 거실과 마당의 역할을 하는 복도 사이의 문을 통유리로 만듦으로써 이웃 간 소통의 장이 열리고
,
이웃들이 모이던 사랑방과 마당을 구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
특히
LH 3
단지가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이기 때문에 주민 간 소통이 더욱 필요하다는 주장이었는데요
.
야마모토 리켄은
“
혼자 사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이웃들이 쉽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만들고 싶었다
”
라고 설명했습니다
.
현대사회는 가족이 해체되고
,
이웃 간의 얼굴조차 모르는 사회로 변화했는데요
.
이런 상황에서 발생하는 노인 소외 현상 등의 사회 문제를 본인이 주장한 지역사회권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생각이었죠
.
통유리 현관문,
사생활 노출 논란으로
하지만 야마모토 리켄의 이런 생각은 주민들에게 전해지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 LH 3
단지의 입주 당시 입주민들은 통유리 현관문에 대해 크게 불만을 제기한 것이죠
. “
동물원 원숭이도 아니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집안들 다 볼 수 있게 만들면 어떡하냐
”
“임대 아파트라고 이렇게 막 지어도 되는 것이냐
”
등 비판적인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
입주민들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해당 아파트가 알려지면서 누리꾼들 역시 크게 비판하기도 했죠
.
사실
LH
역시 이러한 불편함을 예상하고 건설 단계에서 디자인 수정을 요구했지만
,
거절당했었는데요
.
이에 대해선 공모를 통한 설계였기 때문에
LH
에서 임의로 이를 수정할 수 없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결국
, 2013
년 아파트가 준공된 이후 입주가 시작될 때
LH
는 입주민들에게 현관문을 가릴 수 있는 블라인드를 무상으로 제공하면서 사생활 노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게 됐습니다
.
입주 당시 집안이 훤히 보이는 통유리 현관문에 당황해서 불만을 제기했던 주민 중 상당수가 현재는 큰 불편함 없이 살고 있는데요
.
다만 통유리로 만들어져 단열에 취약하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
이 때문에 많은 집에선 현관문에 에어캡
(
뽁뽁이
)
를 붙이고 생활하고 있었죠
.
사실 처음에 제기됐던 사생활 노출 문제는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는데요
.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한 주민은
“
어차피 블라인드로 다 가릴 건데
,
왜 현관문을 통유리로 만든 지 모르겠다
”
라며 아쉬워하기도 했습니다
.
결국엔 통한 건축가의 진심
joins
많은 논란이 생기면서 야마모토 리켄에 대한 국내 이미지는 안 좋아질 수밖에 없었는데요
.
그 야마모토 리켄이 최근에 다시 한국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야마모토 리켄이 다시 한국을 찾은 이유는 그가 설계한 판교의 타운하우스
‘
월든힐스
2
단지
’
때문이었습니다
.
사실 이 월든힐스
2
단지 역시
LH 3
단지와 비슷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
사방의 벽을 통유리로 처리한
(
투명 현관 홀) 것이 거부감을 일으켰고 분양이 잘 안되면서 실패작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죠
.
하지만 입주
10
년 뒤 월든힐스
2
단지의 주민들이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에게 감사 인사가 담긴 이메일을 보내고 그를 초청해 작은 파티를 열어 줬는데요
.
실제로 살아보니 삶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았다는 것입니다
.
주민들은 실제로 돈독한 공동체를 형성하며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었는데요
.
야마모토 리켄이 야심 차게 준비했던
2
층 공동 데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웃과 함께 파티를 여는 집도 많았습니다
.
야마모토 리켄은
“
판교의 월든힐스
2
단지와 강남의
LH 3
단지는 지역사회권을 염두에 두고 설계했다
”
라며
“
이웃과 접촉할 기회를 최대한 늘리고 사생활이 필요한 곳은 엄밀하게 구분해 놨지만
,
항상 부정적인 면만 부각됐다”라고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 LH 3
단지의 경우에도 현관이 통유리인 점을 제외하면 야마모토 리켄이 설계해둔
‘
공동 공간
’
에 대해선 대부분 만족스럽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
아파트 저층의 경우 복도를 나서면 바로 등장하는
‘
커먼 필드
’
는 입주민들이 모이는 열린 마당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
이외에도 저층 아파트 옥상에 마련된 텃밭을 통해 함께 농작물을 키우면서 소통하고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주민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
많은 논란도 있었지만
,
새로운 형태의 주거환경을 제안한
LH 3
단지
,
이곳에서의 삶이 어떤지 더욱 궁금해지네요
.
[fv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