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래 이맛이야” TV에서 조미료 광고 모두 사라진 이유, 알아보니…

1990년대를 강타했던 최고 유행어 중 하나는  “그래 이 맛이야 ”였습니다 . 김혜자가 출연한 조미료  CF에서 등장한 말이었는데요 . 어느 날부터  TV에서 조미료 광고를 찾아볼 수 없게 됐습니다 . 조미료 광고가 갑자기 사라진 이유 . 무엇일까요 ?

갑자기 사라진 조미료 광고

그동안 조미료는 인간의 몸에 좋지 않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있었습니다 . 음식점을 평가할 때  MSG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 하지만 실제 연구원 의견에 따르면  MSG는 많이 먹어도 몸에 축적되지 않고 에너지로 쓰여 사라집니다 . 그만큼 안전하다는 뜻인데요 . 한국의 식약처와 세계보건기구 역시  MSG의 하루 섭취 제한치를 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조미료 광고가  TV에서 사라진 것은  MSG 유해성 논란도 어느 정도 원인이 있습니다 . 하지만 근본적으로 사람들의 식문화가 바뀐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 최근  2030대 청년들은 집에서 요리를 하기보다는 배달이나 외식을 통해 식사를 해결하는데요 . 실제 저녁시간  TV에는 고추장 , 간장 등 요리 관련 식품 광고보다는 치킨이나 피자 등 배달음식의 광고가 더 많이 보입니다 .

변화하는 식문화

이제는 집 밥의 의미가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한 밥 ’이 아닌  ‘내가 상을 차린 밥상 ’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 집에서 먹는 밥도 밀키트 , 배달음식 등의 간편식으로 해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 실제 코로나 19 이후 밀키트 시장 규모가  3년 만에  20배가 커지며 엄청난 성장세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
2020년 배달음식 시장은 약  17조 원 규모로 커졌습니다 . CJ제일제당 트렌드 &인사이트팀의 분석에 따르면  MZ 세대의 집 밥 연관 키워드는  ‘배민 ’과  ‘쿠팡 ’입니다 . 그만큼 집 밥과 배달이 가까워졌다는 의미인데요 . 이제는  1-2인 가구뿐 아니라  3인 이상의 가정과 중장년층도 요리보다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사를 선호합니다 .

변화 맞춰 대응하는 대기업

식품 업계의 관계자는 한국의 식문화가 급격히 변화하면서 식품 쪽에서 독보적이었던  CJ, 농심 등의 독주가 깨질 것이라고 예상했는데요 . 실제  CJ와 농심 역시 변화하는 식문화에 맞춰 기업 변신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
이미 영화 , 음악 등 문화산업 진출한  CJ제일제당은 자신들의 기업을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식문화 기업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 농심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 농심은  30년 넘게 사용했던  ‘믿을 수 있는 식품 , 농심 ’이라는 슬로건을  ‘인생을 맛있게 , 농심 ’으로 바꿨습니다 .
변화하는 식문화에 대해 누리꾼들은  “우리 집 앞 상가에 밀키트 매장 엄청 많아졌음 ” “집에서 밥 안해먹고 밀키트 사 먹으면 너무 편리하다 ” “동네에  10개는 생긴듯 너무 많은 것 같다 ”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
오늘의 실시간
BEST
smartincome
채널명
스마트인컴
소개글
대한민국 평균 이상의 상식을 전해주는 신박한 상식정보와 공감 가는 재밌는 이야기
    ESTaid footer image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 ESTaid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