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를 강타했던 최고 유행어 중 하나는
“그래 이 맛이야
”였습니다
. 김혜자가 출연한 조미료
CF에서 등장한 말이었는데요
. 어느 날부터
TV에서 조미료 광고를 찾아볼 수 없게 됐습니다
. 조미료 광고가 갑자기 사라진 이유
. 무엇일까요
?
갑자기 사라진
조미료 광고
그동안 조미료는 인간의 몸에 좋지 않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있었습니다
. 음식점을 평가할 때
MSG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 하지만 실제 연구원 의견에 따르면
MSG는 많이 먹어도 몸에 축적되지 않고 에너지로 쓰여 사라집니다
. 그만큼 안전하다는 뜻인데요
. 한국의 식약처와 세계보건기구 역시
MSG의 하루 섭취 제한치를 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조미료 광고가
TV에서 사라진 것은
MSG 유해성 논란도 어느 정도 원인이 있습니다
. 하지만 근본적으로 사람들의 식문화가 바뀐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 최근
2030대 청년들은 집에서 요리를 하기보다는 배달이나 외식을 통해 식사를 해결하는데요
. 실제 저녁시간
TV에는 고추장
, 간장 등 요리 관련 식품 광고보다는 치킨이나 피자 등 배달음식의 광고가 더 많이 보입니다
.
변화하는
식문화
이제는 집 밥의 의미가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한 밥
’이 아닌
‘내가 상을 차린 밥상
’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 집에서 먹는 밥도 밀키트
, 배달음식 등의 간편식으로 해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 실제 코로나
19 이후 밀키트 시장 규모가
3년 만에
20배가 커지며 엄청난 성장세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
2020년 배달음식 시장은 약
17조 원 규모로 커졌습니다
. CJ제일제당 트렌드
&인사이트팀의 분석에 따르면
MZ 세대의 집 밥 연관 키워드는
‘배민
’과
‘쿠팡
’입니다
. 그만큼 집 밥과 배달이 가까워졌다는 의미인데요
. 이제는
1-2인 가구뿐 아니라
3인 이상의 가정과 중장년층도 요리보다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사를 선호합니다
.
변화 맞춰
대응하는 대기업
식품 업계의 관계자는 한국의 식문화가 급격히 변화하면서 식품 쪽에서 독보적이었던
CJ, 농심 등의 독주가 깨질 것이라고 예상했는데요
. 실제
CJ와 농심 역시 변화하는 식문화에 맞춰 기업 변신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
이미 영화
, 음악 등 문화산업 진출한
CJ제일제당은 자신들의 기업을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식문화 기업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 농심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 농심은
30년 넘게 사용했던
‘믿을 수 있는 식품
, 농심
’이라는 슬로건을
‘인생을 맛있게
, 농심
’으로 바꿨습니다
.
변화하는 식문화에 대해 누리꾼들은
“우리 집 앞 상가에 밀키트 매장 엄청 많아졌음
” “집에서 밥 안해먹고 밀키트 사 먹으면 너무 편리하다
” “동네에
10개는 생긴듯 너무 많은 것 같다
”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