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건강최고는 하루 7~8천보”
1만보걷기가 일본 올림픽 상술이었다고?
매일 얼마나 걸었나 측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루 1만보 걸어야 걷기 효과가 있고, 건강에 좋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믿음이 일본에서 유래한 미신에 가깝다고 미국 뉴욕타임스가 평가했다.
일본에서 1964년 도쿄 올림픽이 끝난 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자 이에 편승해 이익을 보려는 업체가 '만보계'라는 걸음 계측기를 만든 게 그 원칙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1964 도쿄올림픽후 출시된 '만보 미터' 광고사진 |
전문가들은 당시 만보계에서 1만을 뜻하는 '만'(万) 자가 사람이 걷는 모습과 흡사해 판매촉진 차원에서 만보 걷기를 홍보했을 뿐 특별한 과학적 의미는 없다고 지적했다.
◇ 걷기의 최적효과는 7~8천보
뉴욕타임스는 걷기의 건강증진 효과를 분석한 기존 연구를 인용해 실제 최적점은 1만보보다 훨씬 적은 수준에서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2019년 논문에 따르면 하루 4천400보를 걷는 70대 여성은 2천700보 이하를 걷는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조기사망 위험이 40%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5천보 이상을 걷는 이들의 조기사망 위험은 계속 떨어졌으나 그 건강증진 추세는 7천500보에서 정점을 찍었다.
그보다 많이 1만보까지 걷는다고 해서 건강 이익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JAMA Network)에 2020년 3월 게재된 더 광범위한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눈에 띈다.
이 연구의 결론은 하루 1만보는 장수의 조건이 아니라 8천보 정도를 걷는 사람이 4천보를 걷는 사람보다 심장질환 등으로 일찍 죽을 위험이 절반이라는 분석이었다.
◇ 1만보 목표가 오히려 걷기의욕 떨어뜨려
뉴욕타임스는 미국, 캐나다를 비롯한 서구 국가에서 대다수 성인들의 하루 걷기량이 5천보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며 1만보 목표가 오히려 걷기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벨기에에서 2005년 남녀 시민 66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년 동안 하루 1만보 목표를 지킨 사람은 8%에 불과했고 4년 뒤에 계속 그렇게 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민 리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박사는 미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 정부에서 공식 권고하는 육체 활동량이 하루 30분 정도이며 이를 걸음으로 환산하면 하루 2천∼3천보 정도라는 점을 주목했다.
리 박사는 많은 이들이 쇼핑이나 집안일 등으로 매일 5천보 정도를 걷고 있으므로 하루에 2천∼3천보(1.6∼2.4㎞) 정도를 더 걷는다면 최적점으로 여겨지는 하루 7천∼8천보를 채울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