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의외로 식중독 주원인인 채소, 슬기로운 보관법은?

[리얼푸드=육성연 기자]여름철 채소는 생선이나 육류보다 관리가 소홀해지기 쉽지만 의외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범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2012~2016년간 식중독을 일으킨 식품을 분석한 결과, 1위는 채소류(41.8%)인것으로 나타났다. 육류는 14.2%이며, 김밥 등 채소와 육류가 복합적으로 들어간 가공식품은 2.6%였다. 각종 균에 오염된 상추나 오이 등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지 않거나, 세척을 한 후에도 상온에 장시간 방치한다면 식중독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식중독 위험이 높은 여름철에는 모든 야채를 동일하게 보관하는 것에서 벗어나 채소별 특성에 따른 보관법이 따로 필요하다. 더 오랫동안 안전하게 채소를 보관하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양배추

의외로 식중독 주원인인 채소, 슬기로운 보관법은?

양배추는 냉장이나 냉동보관을 권하며 냉장고에서는 2주 정도 보관이 가능하다. 특히 양배추는 잎보다 줄기가 먼저 썩는 성질이 있으므로, 줄기를 잘라낸 후 물에 적신 키친타월로 줄기 부분을 채워 랩으로 감싸면 싱싱하게 보관할 수 있다. 장기간 보관시에는 사용 용도에 맞게 손질한 후 비닐 팩에 소분하여 냉동 보관한다.






▶당근

의외로 식중독 주원인인 채소, 슬기로운 보관법은?

일반적으로 마트에서 구입한 당근들은 윗부분이 제거된 상태이지만 농장에서 갓 캐낸 당근을 보관한다면 윗부분을 잘라내는 것이 좋다. 당근의 윗부분이 영양분을 빨아들여 지속기간을 앞당기기 때문이다. 당근을 씻어서 보관할 때는 물기를 제거한 후 키친타올에 감싸 밀폐용기에 담는다.




▶사과

의외로 식중독 주원인인 채소, 슬기로운 보관법은?

사과는 ‘홀로’ 보관하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사과에서 나오는 에틸렌 가스가 다른 과일이나 채소를 숙성시켜 쉽게 무르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과를 냉장보관할 때에는 랩이나 비닐봉지에 감싼 후 다른 과채류와 떨어진 공간에 둔다.




▶무

의외로 식중독 주원인인 채소, 슬기로운 보관법은?

무의 단맛과 수분을 그대로 유지하려면 무를 신문지에 싸서 비닐에 담아 냉장고 과일칸에 보관하거나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강판에 갈았던 무의 경우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하면 오랫동안 먹을 수 있다. 해동해 즙을 낸 무즙은 생선조림시 사용하기 좋다.




▶양파

의외로 식중독 주원인인 채소, 슬기로운 보관법은?

양파는 냉장보관보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통풍이 잘 드는 서늘한 곳에 놓는 것이 올바른 보관법이다. 양파 껍질을 벗기거나 칼로 썰어진 상태라면 냉장보관한다.


gorgeous@heraldcorp.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