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후 사망’부작용, 어떻게 보상 받을까
![]() |
![]() |
요즘 코로나가 또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어요. 델타 변이, 알파 변이, 베타 변이 등 계속해서 변이 바이러스가 생겨나면서 저를 포함해 온 국민이 끝나지 않는 싸움에 많이 지치셨을 것 같습니다. 맨 처음에 mrna 백신이 개발됐을 때부터 사람들이 항상 부작용에 대해 걱정을 했어요. 하지만 요새는 강제로 백신을 맞아야 하는 분위란 말이죠. 사실 내 의사랑 상관없이 맞는 그런 면도 있는데, 만약 부작용이 생기면 억울하잖아요. 그럼 보상이라도 받아야 될 거 아니에요? 그래서 오늘은 백신 부작용 보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 출처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
최근에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얀센 백신을 맞은 후 혈전에 의한 뇌경색으로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진 30대 아들의 존속한 인과성 검사를 요청하는 아버지의 글이 올라와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는데요. 청원인은 “이 같은 청천벽력 같은 진단 소견을 들은 후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애타는 심정”이라며 “답답한 마음에 병원 측에 이렇게 된 원인을 물었지만 명확한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라고 토로했습니다.
![]() 출처 – ‘경제 와이드’ 백브리핑 시시각각 |
또 다른 부작용 사례로 백신 얘기를 해 보면 50대 백신 접종이 이제 화이자로 일단은 결정돼서 진행되는데, 우려스러운 점이 화이자로 인한 인과성이 인정되는 사망사례가 처음 나왔습니다. 심근염 사망사례라고 하는데요. 심장은 대부분 근육으로 이루어졌고 그 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걸 심근염이라고 얘기합니다. 심근염은 심낭염과 마찬가지로 RNA 백신에서 나올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 중에 한 가지인데요. 백신 접종 후 숨이 차거나 가슴 통증, 압박감 등이 느껴지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
위와 같이 부작용과 여러 사건사고들로 인해 백신을 우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래서 기사에서 백신 부작용에 대해서 보상해 주겠다는 기사 엄청 많습니다. 하지만, 받았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어요. 나라에서 보상이나 돈으로 줄 때 법적인 근거가 있어야 된단 말이죠. 백신을 맞고 부작용이 생기는 건 거의 약물 부작용인데요. 혹시 타이레놀 먹고 죽었다는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그만큼 모든 약은 독이 될 수 있거든요. 일반적으로는 효과가 있는 약이라고 하더라도 누군가한테 독이 될 수 있고, 사람마다 체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누구한테 부작용이 생길지 알 수 없어요. 직접 먹어보면 자신이 이 약과 안 맞는구나라고 느끼는 거죠. 태어나서 처음 먹어보기 전까지는 제가 타이레놀을 먹고 부작용이 생길지 안 생길지 아무도 알 수 없단 말이에요.
![]() |
예를 들어, 타이레놀을 예전에 먹고 거의 죽다 살았죠. 그래서 타이레놀이 안 맞는 체질이란 걸 알아요. 그래서 병원에 가서 ‘저는 타이레놀이 안 맞으니 다른 약으로 처방 부탁드려요’ 이렇게 말했는데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그 약을 처방하면 병원의 잘못인 거죠. 그럼 의사한테 당연히 손해배상 청구할 수 있어요. 만약 제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 약을 먹었는데, 강력한 부작용이 와서 죽었다면, 이건 의사 잘못은 아니기 때문에 의사가 책임을 질 필요가 없어요. 하지만, 보상은 받아야 되니까 그럴 땐 나라에서 보상을 해주도록 돼있죠. 제약회사나 이런 곳에서 기금을 모아서 약물 부작용으로 사망을 하거나 장애가 남은 사람을 구제해 주는 사업이 있어요.
![]() |
부작용이 생겼을 때는 약사법에 규정이 있는데, 그걸 보면 의약품 부작용 피해 구제 사업이라는 게 있어요. 일반적으로 약물 부작용이면 나라에서 보상해 준다고 돼있는데, 감염 법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예방접종으로 합병증 생겼다면 보상을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이렇게 약사법에는 이렇게 보상을 받을 수 없지만, 감염병 예방법에 보면 보상을 해준다고 되어있어요. 나라에서 이중보상을 막기 위해서 약사법에는 예외사항으로 넣은 건데요.
![]() |
감염 법 예방법에 보면 기준이 있어요. 백신 맞다가 예방접종으로 합병증이 생기면 나라에서 보상을 한다고 되어있는데, 진료비, 사망 시 장례비 하지만 비용이 크진 않습니다. 장제비가 30만 원으로 측정이 되었었네요. 사망과 장애에 대해서도 일시보상금을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접종으로 인해서 발생했다는 게 입증이 되어야 합니다.
![]() |
사망한 경우 사망원인을 100% 단정 짓기 쉽지 않거든요. 특별히 지병이 있던 사람이 아니라면 백신 때문에 그랬다는 걸 추정을 해 주는 게 이 제도상 취지에 맞는다고 봅니다. 만약 보상을 받아야겠다고 생각을 해서 청구를 했는데 못 받았다면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겠죠.
![]() |
코로나19 백신 접종자가 1300만 명을 넘은 가운데,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정부가 주도적으로 보상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내용이 제기됐는데요. 질병관리청은 인과선 판단에 앞서 보상금을 선지급하고 이후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으면 지급금을 회수하는 것은 시간, 비용, 인력, 회수 가능성 등 과도한 행정소요를 수반한다는 주장입니다. 결과적으로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 국가 피해 보상 확대 법안은 추후 복지위 법안소위에서 계속심사될 전망입니다.
![]() 출처 – ‘로이어프렌즈’ 유튜브 |
의학적으로 저는 백신을 맞아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백신을 맞아서 면역이 생기면 그만큼 우리날 전체에 대해서 집단면역에 한걸음 더 다가가는 거니까요. 벌써 코로나가 발생한지 2019년 겨울인데, 이제 2021년 여름이네요. 긴 시간 동안 고생이 많으신데요.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하고 있으니까 힘들겠지만 더 파이팅 해서 같이 힘냅시다.
![]() |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