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다가 끝난, ‘3일의 휴가'
‘3일의 휴가’ 포스터. 사진 I 쇼박스 |
엄마가 하늘로 떠난다는 상상만으로도, 그런 엄마가 날 다시 보러 온다는 설정만으로도 뭉클하고 슬픈데 모녀의 사정은, 아니 이 엄마의 삶은 딱해도 너무 딱하고 불쌍하다. 이 정도 희생이 아니어도, 기구한 사연을 몰아 주지 않아도, 충분히 더 아름다웠을, 도무지 힐링할 틈을 주질 않는 ‘3일의 휴가’(감독 육상효)다.
한 평생 오로지 딸을 위해 살았던 ‘복자’(김해숙). 죽은 지 3년째 되는 날, 복자는 하늘나라 백일장 대회에서 입상해 3일 간의 휴가를 받는다. 휴가지는 단연 딸이 있는 곳. 복자는 만질 수도 목소리를 들려 줄 수도 없지만, 그저 다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차는 설렘을 안고, ‘가이드’(강기영)를 따라 지상으로 향한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미국 명문 대학교 교수인 딸 ‘진주’(신민아)는 어떤 영문인지 미국이 아닌 엄마(복자)가 살던 외딴 시골집에서 홀로 백반 장사를 하고 있다. 진주는 복자의 레시피로 (엄마에게 냉랭하게 대했던 미안함에) 엄마를 추억하며 괴로워하고 있었고, 복자는 그런 딸을 보며 복장이 터지고 가슴이 메어진다. 단 한 마디, ‘괜찮다고’ 말하고 싶은 복자와 ‘미안하다’고 전하고 싶은 진주. 모녀는 서로의 진심을 전할 수 있을까.
‘3일의 휴가’ 스틸. 사진 I 쇼박스 |
엄마라면, 또 딸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만남과 이별’이요, 사실 설정 자체가 ‘눈물 치트키’다.
딸들에겐 엄마란, 가장 가깝고도 소중하고 절대적인 존재인 동시에 그 마음이 수시로 왜곡되거나 오해하기 싶고, 마음과 다른 말 ·행동을 하게 되는 대상이다. 나름대로 잘하고 잘한들(그것도 철이 들어서야), 엄마에게 받은 사랑을 절반이라도 보답하기란 불가능하니, 헤어지면 무조건 회한이 남고, 생각만 해도, ‘엄마’란 단어만 떠올려도 눈물이 핑 돌 수밖에.
엄마에게 자식이란, 특히 같은 성별의 다른듯 또 비슷한 운명(출산·육아 등)을 안고 살아갈 딸은 또 어떤가. 존재 자체가 보물이요, 본인의 모든 걸 희생해서라도 더 귀하게, 자신이 걸어온 길보단 무조건 더 예쁜 꽃길이길 바라는, 그걸 위해선 못할 게 없을, 이미 모든 걸 내어줄 준비가 돼있는 그런 존재다. 그러니 엄마의 품은 나날이 넓어지고,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다.
배우 김해숙은 그런 ‘엄마’의 모습을, 마음을, (한 없이 넓고 따뜻한) 품을, 완벽하게 표현해낸다. 억센 사투리로 욕을 쏟아내는 와중에도 딸을 향한 애틋함이 내내 흘러 넘친다. 눈빛만으로도 먹먹한 울림을 안기며 ‘국민 엄마’다운 위엄을 뽐낸다. 신민아 역시 애증으로 뒤섞인 복잡한 감정으로 철없이 엄마에게 투정을 부리다 이내 후회하고 괴로워하는, 덤덤한듯 치열하게 고통을 감내하는 ‘보통의 딸’을 세심하고도 정성스레 연기한다. 현실감 넘치는 모녀 호흡이다.
‘3일의 휴가’ 포스터. 사진 I 쇼박스 |
아쉬운건, 이런 모녀가, 어느 날 갑자기 헤어졌다가 찰나의 만남에서 못다한 마음을 전한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안타깝고 아리는데, 그 외 모든 이야기들을 한없이 기구한 신파로 끌고 간다는 점이다. 가엽고도 더 가엽게, 기어이 모든 걸 앗아가면서.
엄마와 딸이란, 시대와 각자의 사연을 뛰어 넘어, 그 관계 자체로 충분히 공감할 수 있고 자신의 이야기로 대입할 수 있는, ‘무엇’이거늘. 메가폰은 이를 일차원적으로 해석하고 또 다룬다. 그러니, ‘엄마 치트키’를 다루는 방식도 고전적이고 평면적이며 얕다. ‘슬픈 사연’에만 기대어 깊은 감동이나 힐링까진 나아가질 못한다.
오롯이 엄마의 (일차원적인) 희생으로만 일관, 그 희생조차 올드한 신파로 끝없이 밀어 부친다. 가난 때문에 갖은 고생은 기본, 원하지 않는 재혼까지 하지만, 그로 인해 자신을 버렸다고 여기는 사춘기 딸은 엄마를 원망한다. 엄마는 인생을 통째로 희생해도 늘 죄인의 마음으로 산다. 아무리 전화를 해도 딸은 받질 않고, 홀로 외딴 시골에서 외로움에 파묻혀 여생을 보낸다. 이 마저도 너무 불쌍한데 끝까지 모든 걸 앗아가는 잔인한 엔딩이라니.
나름 영화적 쾌감을 위해 강기영과 황보라를 투입, 곳곳에 소소한 웃음을 배치했다. 엄마의 레시피로 만들어내는 (‘리틀 포레스트’를 표방한) 무해한 몇몇의 음식 장면들로 하드캐리 하지만, 뿌리부터 굵직한 가지들이 한결 같이 신파다보니 잔가지의 변주가 큰 힘을 발휘하진 못한다.
내내 ‘복자’ 캐릭터가 불쌍하고 가슴이 아프다. 아름답고 경쾌한 분위기로 애써 마무리 하려고 하지만, 기분은 이내 우울해진다. 아쉽게도 눈물지수와 감동지수가, 힐링지수가 비례하지 않는다. 추신, 휴가가 왜 이렇게 힘드냐...
오는 12월 6일 개봉. 12세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0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