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돈벌어 30대에 96억·62억집 전액 현금으로 샀죠
![]() |
취업난이 지속되는 가운데 차라리 창업하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청년 창업자는 최근 2년 연속 증가세에 있는데요, 특히 대학생 창업은 1년 새 2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만큼 다양한 스타트업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한 스타트업 대표가 62억 원 집을 매입해 화제에 올랐습니다.
이건희 회장 앞집 산 30대 남대광 대표
![]() |
한 30대 스타트업 대표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앞집으로 이사했습니다. 단순히 앞집이라는 점을 떠나 집의 가격이 62억 원에 달해 주목을 끌었는데요, 이 주택을 매입한 사람은 미디어 커머스 스타트업 블랭크 코퍼레이션의 남대광 대표였습니다.
![]() |
블랭크 코퍼레이션은 남성용 화장품 블랙 몬스터부터 바디럽, 마약베게, 악어발팩 등 각종 브랜드와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제품을 기획하고 이후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존 기업과 달리 처음부터 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제품을 기획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온라인 판매를 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
블랭크 코퍼레이션은 2016년 설립된 뒤 2017년 495억 원, 2018년 1280억 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 회사를 이끄는 남대광 대표가 선택한 집은 대지면적 288㎡. 연면적 323㎡의 지하 1층, 지상 2층의 단독주택입니다. 3.3㎡당 7000만 원이 넘는 초고가 주택이지만 대출 없이 현금으로 매입했습니다.
명동 아늑한 한옥집 김소희 대표
![]() |
2005년 22세의 나이로 뷰티 패션 브랜드 스타일 난다를 창업한 김소희 전 스타일난다 대표는 스타트 업계의 전설로 통합니다. 그는 2018년 스타일난다를 화장품 기업 로레알 그룹에 매각해 6000억 원의 자산가가 되었죠. 그런 그가 선택한 집은 높은 아파트도, 거대 주택도 아닌 서울 명동의 한옥이었습니다.
![]() |
김소희 대표가 매입한 한옥은 대한제국의 관료였던 마포 최사영의 가옥으로 1906년 준공된 100년 넘은 주택입니다. 당시 정 3품의 고위 관직자의 집이었던 만큼 당시 최상위 계층의 생활공간이 내부 곳곳에 드러나 있죠. 궁궐 건축과 같은 연등천장이나 화려한 외벽 의장의 짜임새는 고급 한옥 중에서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
다만 집의 크기가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대주택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이 주택은 대지면적 84㎡, 연면적 208㎡의 아담한 주택입니다. 하지만 3.3㎡당 가격이 9억 5405만 원에 달해 매매가가 96억 원에 달하죠. 김소희 대표 또한 대출 없이 전액 현찰 매입했습니다.
나 혼자 잘나 벌었나 비판의 목소리도
![]() |
같은 고가 부동산 매입이지만, 기업을 매각한 김소희 대표와 달리 현직 블랭크 코퍼레이션 대표인 남대광은 비판받기도 했습니다. 직원들과 함께 회사를 키운 만큼 배분에 조금 더 힘써야 했다는 것이죠. 한 스타트업 대표는"블랭크가 업계에서 직원 복지 좋기로 유명하지만, 그 돈으로 수십억 집을 산 건 아쉽다"라고 말했습니다.
![]() |
대부분의 의견은 "비윤리적인 방법도 아니고 합법적으로 축적한 자산을 누리는 데 뭐가 문제냐", "나도 할 수 있다는 자극이 된다"라는 긍정적인 반응이었습니다. 다만 한 스타트업 대표는 '내 실력으로만 돈을 벌었다'라는 착각이라며 "자본 축적에 동료들의 기여, 사회적 배경, 운 등 모든 게 작용했기에 사회로 돌아가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성공을 당연히 누리는 해외 스타트업들
![]() |
그렇다면 스타트업의 천국인 미국은 어떨까요? 한국과 달리 미국은 성공한 스타트업 대표가 이룬 부를 마음껏 누리는 걸 오히려 권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언론사는 미국 스타트업 버즈피드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조나 페레티가 고가 주택을 매입한 일에 대해 "기존 살던 200만 달러 집은 성공한 스타트업 CEO 집에 어울리지 않다."라며 그의 520만 달러 새 집 구매를 당연한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 남대광 대표와 창업 컨퍼런스 참가자들 |
한국에서 스타트업에 대한 인식은 돈보다는 꿈, 열정, 헌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남대광 대표에 대한 비판을 "직원들이나 회사, 사회에 투자하지 않고 고액 부동산을 매입했다는 데 실망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스타트업이 가난해야 한다는 인식 속 성공사례가 나오기 어렵다"라고 덧붙였습니다.
![]() |
실제 성공한 사람이 부를 만끽하는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원동력이 됩니다. 마이너 음악이었던 랩이 지디, 도끼 등 래퍼들의 성공에 따라 대세 장르가 된 것처럼 말이죠. 정당한 노력으로 축적한 재산을 함께한 이들과 나누는 건 분명 이상적인 일입니다. 그러나 그 정도에 대해선 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