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기업과 스타는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입니다. 특히 소비자들과 밀접한 소비재 중심의 기업은 더욱 그렇죠. 스타는 기업의 제품을 홍보해 주고, 기업은 스타에게 어마어마한 돈을 주기 때문에 이들에게 서로가 아주 중요합니다. 세계 최고의 브랜드인 나이키를 지금의 위치에 있게 만들어준 것 역시 전설적인 농구 스타 마이클 조던 덕분이었습니다.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우리는 이런 스타와 기업의 관계를 많이 목격했었는데요. 비단 나이키와 마이클 조던의 관계 뿐 아니라 국내에도 비슷한 사례가 많습니다. 국내에는 망해가던 기업을 스타가 광고 하나로 극적으로 살린 사례도 있죠. 서로에게 힘이 되는 기업과 스타의 이야기,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마케팅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기업이 소비자들에게 물건을 팔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제품의 품질? 합리적인 가격? 모두 중요하지만, 미디어가 세상을 지배하는 요즘에는 마케팅의 중요성이 상당히 강조되고 있습니다. 한 마케팅 전문가는 “쓰레기 같은 제품이더라도 마케팅만 잘하면 먹히는 세상”이라고 말할 정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마케팅 방법은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해 왔는데요. 과거에는 신문이나 TV, 라디오 등 일방적인 방향의 광고 마케팅이 주를 이뤘습니다. 요즘에는 SNS를 중심으로 소비자들 사이에서 마케팅이 발생하는 바이럴 마케팅 등 쌍방향의 마케팅이 유행하고 있죠. 하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를 관통하는 아주 효과적인 마케팅이 있는데요. 바로 대중 스타를 활용한 광고 마케팅입니다.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이미지가 명확하고 팬 덤이 두터운 스타를 제품을 홍보하는 모델로 삼는 것은 현재에도 아주 중요한 마케팅 중 하나인데요. 이런 스타 마케팅을 통해 구사일생한 기업들이 여럿 존재한다는 것을 아시나요? 제품을 홍보해 주는 모델 선정이 ‘신의 한 수’였다는 기업과 그 모델들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연아와 함께 걸어요 ‘연아 워킹화’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국내 토종 스포츠 브랜드인 ‘프로스펙스’를 아시나요? 1980~1990년대만 하더라도 나이키보다 시장점유율이 높았던 인기 브랜드인데요. 당시에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던 나이키, 아디다스와 동급으로 분류될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었죠. 하지만 정치적인 스캔들에 휘말리면서 프로스펙스는 위기를 겪었습니다. 이후 줄곧 프로스펙스 브랜드는 이 회사 저 회사에 팔려 다니는 신세가 되면서 힘을 쓰지 못했었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하지만 2012년 밴쿠버 올림픽이 끝나면서 나이키와의 스폰서십이 끝난 김연아를 냉큼 데려오게 됩니다. 당시 업계 모델료의 최고 수준이 7억 원 정도였는데, 프로스펙스는 김연아에 10억 원을 제안하면서 스폰서십을 체결했습니다. 프로스펙스는 기존에 없던 ‘워킹화’라는 개념의 운동화를 새로 출시한 이후 김연아를 광고모델로 사용했는데요.


일명 ‘연아 슈즈’라 불린 프로스펙스의 워킹화 ‘프로스펙스 W 연아라인’은 날개 돋친 듯이 팔리면서 연 200만 켤레를 판매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당시 매출은 6,548억 원으로 전년보다 44.2%가 증가하면서 프로스펙스는 ‘김연아 효과’를 톡톡히 봤죠.

원조 완판 스타 ‘이효리’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세계적인 스포츠 브랜드인 푸마 역시 국내에서 유명 스타의 덕을 본 기업입니다. 푸마는 1982년 국내에 진출한 브랜드로 인지도로는 나이키 아디다스와 견줄 수 있을 수준이지만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가 있지는 않은 브랜드이죠. 그나마 2004년에 출시한 푸마의 스피드캣이 연 매출 1,000억 원 이상을 달성하면서 인기를 끌기도 했었습니다. 이외에는 특별히 인기를 끌지는 못했으며 줄곧 하락세를 면치 못했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하지만 2012년 푸마는 이효리를 광고모델로 채택하면서 큰 변화를 경험합니다. 당시 이효리는 광고업계에서도 최고의 대우를 받는 슈퍼스타였는데요. 이효리가 입으면 무조건 완판이 됐고, 이효리가 타던 차 역시 인기 제품이 될 정도였죠. 이런 효과는 푸마 역시 누렸습니다.


국내 시장에선 스피드캣, 스웨이드를 제외하고 힘을 못 쓴 푸마지만, 이효리가 광고한 TX-3는 이효리 운동화로 불리며 큰 인기를 끌게 됐습니다. 특히 지난해 7월 푸마는 TX-3를 재출시하면서 다시 이효리와 재회하기도 했는데요. 그만큼 서로에 대한 기억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연 매출 200% 올린 소희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이효리와 푸마처럼 비슷한 사례는 또 있는데요. 바로 리복과 소희입니다. 리복은 푸마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스포츠 용품 브랜드입니다. 국내에서는 나이키와 아디다스와 비교해 인기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1990년대만 하더라도 나이키와 아디다스보다 인기가 많았던 적도 있던 브랜드이죠. 그러던 중 지난 2013년 리복은 1980년대 출시했던 운동화 ‘GL6000’을 다시 선보이게 됐는데요. 이때 모델로 원더걸스 출신의 소희를 섭외하게 됩니다.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땡처리 브랜드에서 매출 1800억 대박 브랜드 된 건 다 이분 덕분이죠”

여러 전문가들은 이때 소희를 섭외한 것을 ‘신의 한 수’였다고 평가하기도 하는데요. 당시 소희는 10대, 20대 남성, 여성 모두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스타였습니다. 특히 소희는 길고 예쁜 다리로도 유명했는데요. 소희의 다리와 리복의 운동화가 강조된 광고 이미지들은 많은 소비자가 GL6000을 살 수밖에 없게 만들었습니다. 실제로 당시 리복의 매출을 살펴보면 소희를 모델로 섭외한 다음 해에 전년 대비 200% 상승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