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이게 뭐죠?” 외국인들이 한국 장례식장 가서 소름 끼친다는 이유
떠나가는 고인을 마지막으로 보내는 의식인 장례식. 동서양을 막론하고 장례식이라는 단어는 어딘가 비통하고 엄숙한 느낌을 주죠. 하지만 외국인들의 눈에 우리나라의 장례식은 비통보단 축제의 느낌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우리에겐 익숙한 장례식장 모습들이지만 외국인들에겐 전혀 색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외국인이 보면 충격받는다는 한국 장례식장의 풍경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문객을 접대하는 문화
한 외국인 기자는 우리나라의 장례식장을 직접 가 보고 “축제와 같은 느낌이다”라고 표현했습니다. 암울하고 엄숙한 분위기의 다른 나라의 장례식과는 달리, 한국의 장례식장은 조문객들이 웃고 즐기는 분위기라고 말했는데요. 이는 죽음으로 인한 슬픔에 빠져있기보단 특별한 방식으로 명복을 빌어주기 위한 관습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상주가 장례식장을 찾은 조문객들을 접대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조용히 문상을 왔다가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고 가는 외국의 장례식장 문화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기도 한데요. 한 외국인은 상주가 장례식장에서 아버님의 영정 사진이 놓여 있는 제단 근처에서 찾아온 사람들을 맞이하며 그들과 담소를 나누는 장면을 보고도 놀랐다고 전했죠.
일부 외국인들은 한국 장례식장에서 정작 고인에 대한 추모는 뒷전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고인에게는 큰 관심이 없고 유족들에게 눈도장 찍으러 온 사람들로 북적대는 장례식장 풍경을 보고 그렇게 느꼈다고 밝혔는데요. 화장장에서 여러 유족이 섞여 번호표를 받고 순서를 기다리느라 북적이는 모습을 보고 “엄숙해야 할 장례식장이 아니라 파티장 같았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길고 복잡한 절차와 기간
한국 장례식은 보통은 3일장을 진행하며 1일에는 안치 및 분향, 2일에는 입관, 3일에는 발인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사정 상 또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경우에는 안치 후 24시간이 지난 후 입관을 하고 바로 발인을 하는 2일장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죠.
보통은 3일장이 기본이지만, 5일장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외국에 나가있는 가족이 귀국하는 경우 이들을 기다리기 위해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죠. 3일장이 됐건 5일장이 됐건, 상주들이 찾아오는 많은 조문객들을 일일이 접대하느라 잠은 커면 잠시 쉴 시간조차 없이 바쁜 모습에 안쓰럽게 느껴진다고 말한 외국인들도 있었습니다.
병원과 장례식장이 함께
그중에서도 외국인들이 꼽은 한국의 가장 이해하기 힘든 장례문화는 바로 병원과 장례식장이 한 공간에 있는 것입니다. 사람을 살리려는 곳과 죽은 이를 안치하는 곳이 함께 붙어있다는 점에 외국인들은 충격을 금치 못했는데요. 편리성과 실용성을 생각하면 납득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그래도 고인을 애도하기 위한 의미를 생각하면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문화라고 밝혔습니다.
식사하고 술 마시는 문화
장례식장 바로 옆에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술을 마시고 식사하는 광경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힌 외국인들도 많습니다. 이들은 한국 드라마 등을 통해 이 같은 장례문화를 먼저 접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장례식장에서 겪어보고 나면 적응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는데요. 가까운 가족들끼리 가볍게 식사를 하는 데서 그치는 외국 장례식과 달리, 함께 모여 화투를 치고 윷놀이를 하는 장례식장의 풍경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죠.
하지만 이는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지양해야 할 장례문화로 꼽힙니다. 특히 밤늦도록 집에도 가지 않고 술을 마시고 주사를 부리거나 오랜만에 지인을 만났다고 웃고 떠드는 등 행동은 상갓집 꼴불견으로 여겨지죠. 최근에는 음주 단속과 도박 단속을 강력하게 하면서 장례식장에서 음주와 도박도 자제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습니다.
또한 저마다 운전을 하기 때문에 상주와 밤을 새워줄 필요도 없어져 이러한 문화는 전보다 많이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렇게 외국인들의 눈에는 충격적으로 보일 수 있을 법한 한국의 장례식 문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한국의 장례 방식이 낯설고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각 나라마다 갖고 있는 고유한 장례 풍습인 만큼 열린 마음으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