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Youtube@Keeb Cruz

여러분은 혹시 어떤 반려동물과 함께하고 계신가요? 아마 대부분의 이들이 강아지와 고양이를 꼽으실 텐데요. 그런데 아마 강아지와 고양이를 둘 다 반려 중인 분은 많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고양이와 강아지는 합사가 까다로운 것은 사실인데요. 이전부터 고양이와 강아지의 사이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둘의 언어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죠. 이 완전히 반대되는 언어 차이로 인해 오늘 소개할 사연의 걍아지와 고양이는 싸움을 일으키고 말았다고 합니다. 함께 보러 갈까요?


고양이의 냥냥펀치에 결국 폭발한 허스키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Youtube@Keeb Cruz

오늘 소개할 가정에는 아주 특별한 식구들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멋진 갈색 코트에 푸른 눈을 가진 허스키, 그리고 다리까지 고등어 코트로 감싼 고양이가 함께 살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 둘은 어쩐지 묘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강아지를 지긋이 쳐다보는 고양이와 이런 고양이의 눈을 피하는 강아지의 모습인데요.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고양이는 그런 강아지에게 시선을 떼지 않더니 갑자기 앞발을 슬쩍 올립니다. 그러더니 고양이는 별안간 허스키의 미간을 꾹 누르는데요. 이에 허스키는 얼굴을 들고 하지 말라는 듯한 몸짓을 합니다. 그러자 고양이는 잠시 물러서는 듯싶더니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빈틈을 찾는데요.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곧 이번에는 허스키의 코에 앞발을 찍어 누르는 데 성공한 고양이입니다. 이번에는 허스키가 도리질하며 조금 격하게 몸을 털고 그 등쌀에 고양이가 밀려나고 마는데요. 꼬리를 탱탱 치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던 고양이는 결국 허스키의 귀까지 공략합니다. 이런 고양이의 도발에 허스키는 아예 옆으로 돌아누워 버렸죠.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Youtube@Keeb Cruz

왜인지 그런 허스키의 행동에 고양이는 더 심기가 불편한 듯한데요. 허스키의 코앞까지 다가간 고양이는 뚫어지게 쳐다보더니 공중에 두어 번 앞발을 휘적거립니다. 또다시 허스키의 옆얼굴을 지그시 누르고 만 고양이는 결국 점잖던 허스키의 화를 불러일으키고 말았네요.


견묘지간 싸움의 원인은 언어차이?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오늘의 사연 속 견묘지간 싸움에는 일방적인 고양이의 시비가 원인인 것처럼 보이는데요. 그런데 이 싸움 속에는 고양이와 강아지의 언어 차이가 숨어 있다고 합니다. 먼저 첫 번째 차이는 ‘눈을 빤히 바라보는 것’에서 나타나는데요. 고양이에게 이는 신뢰의 의미를 담은 것이지만 강아지에게는 도전의 의미, 즉 싸움을 거는 의도로 느껴진다고 합니다.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Shutterstock

Shutterstock


따라서 영상 속 고양이는 어쩌면 강아지를 신뢰하고 애정하는 마음을 담아 아이컨택을 시도한 것일 수 있지만 강아지는 이를 싸움을 거는 것으로 해석하고 눈을 피해버린 것이죠. 두 번째 차이는 ‘옆으로 돌아누운’ 강아지의 행동에서 드러납니다. 허스키는 아마 자신이 연약한 존재이고 싸울 의도가 없음을 어필하는 것이었을 텐데요.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고양이의 입장에서 이런 행동은 자신이 매우 크고 위협적인 존재임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허스키의 싸움을 피하고자 했던 행동이 오히려 고양이에게는 시비를 거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었던 것이죠. 이와 비슷하게 읽힐 수 있는 허스키의 행동이 또 있었는데요. 영상 속 허스키는 고양이 쪽으로 배를 보이고 눕는 모습을 자주 보였습니다.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강아지의 언어로 이것은 복종, 화해의 의미인데요. 고양이에게는 공격의 자세로 비칠 수 있다고 합니다. 결국 이러한 둘의 정반대되는 언어 차이로 인한 오해로 싸움이 일어난 것 같은데요. 자신의 호의를 담은 시선을 무시한 허스키에 심술이 난 고양이와 그런 고양이의 행동에 항복했음에도 공격을 이어간 고양이에 당황한 허스키 사이에 일어난 귀여운 헤프닝 같네요.


고양이와 강아지 사이,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Pixabay

Pixabay


이렇듯 완전히 다른 언어를 가졌지만 강아지와 고양이의 합사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합사 시기를 3가지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 먼저 첫 번째는 강아지와 고양이가 모두 서로 어릴 때 만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가 가장 이상적인 시기로 특히 생후 6~12개월경 사회화가 막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서로를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관계성이 형성될 수 있죠.


Pixabay

Pixabay


두 번째는 강아지가 먼저, 그다음 고양이가 오는 경우인데요. 이 경우에도 적합한 합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해요. 만약 먼저 있던 강아지가 출산의 경험이 있다면 더 수월한데요. 강아지가 높은 확률로 모성애를 발휘해 고양이를 보살필 수 있기 때문이죠. 단, 오늘의 사연 속 강아지와 고양이처럼 둘 사이의 몸집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라면 통제가 어려울 수 있어 초반 관계 형성에서 반려인의 조율과 개입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Pixabay

Pixabay


‘나 건드리지 마’ 강아지와 고양이 언어 차이가 불러일으킨 싸움
Pixabay

마지막으로 고양이가 먼저, 그다음으로 강아지가 올 경우인데요. 이때는 둘의 성별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먼저 있던 고양이의 성향이 관건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단독 생활을 하기 때문에 새 가족을 경계부터 하고 볼 가능성이 높은데요. 이때 고양이가 스스로 강아지에게 다가가기 전까지 충분한 분리 시간과 공간이 필요합니다.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고양이와 강아지는 이렇듯 서로 맞지 않은 언어로 소통이 쉽지만은 않은데요. 그러나 어린 시절부터 동고동락하며 지낸다면 사이좋은 한 쌍의 커플로 지낼 가능성도 작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만약 강아지와 고양이의 합사를 생각 중이시라면 어린 시절부터 함께 할 수 있도록 시기를 조율해보면 좋겠죠.


Youtube@Keeb Cruz

Youtube@Keeb Cruz


고양이와 강아지의 귀여운 투닥 투닥 싸움을 본 네티즌들은 이에 “고양이가 강아지 괴롭히려는 게 아니라 관심 끌려는 것 같은데..”, “고양이 입장에서 강아지가 흥미로워 보여서 몇 번 만져본 것일 듯”. “강아지가 그래도 점잖게 화내네. 화내고 나서 자기도 민망해서 일부러 개껌 씹는 거 너무 웃기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