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기업가치 4조’였던 기업 “지금은 빚잔치하고 있죠”
이로인해 투자자들은 유니콘 기업이 미래에도 잘 될 것이라는 막연한 환상을 갖고 무작정 투자하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유니콘기업이라고 돈 잘 버는 것은 아니다’라며 투자 리스크를 떠안게 될지 모른다고 경고하는데요. 기업가치 1조원에 달하는 유니콘 기업이 왜 ‘속 빈 강정’이라는 소리까지 듣게 됐는지, 그 이유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제 2벤처붐이 이어지며 기존 대기업 중심 경제구조에서 스타트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라며 ”향후 더 많은 유니콘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스톡옵션 등 기존 관련 제도를 보완할 것 “이라고 밝혔는데요 .
정부를 비롯해 정치권에서도 유니콘기업 육성의지가 뚜렷이 드러나는데요. 민주당의 경우 ‘K-유니콘 프로젝트’가동을 발표하며 ‘예비 유니콘 특별보증제도’를 통해 적자 상태인 기업이라도 성장 가능성이 높으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밖에 전망이 유망한 벤처기업을 연 200개씩 선발에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벤처 강국 패스트트랙’안도 마련했습니다.
쿠팡에 이어 ‘한국 유니콘 2호 ’로 이름을 알린 옐로모바일은 설립 2년 만에 유니콘기업 칭호를 받았지만 , 현재는 유니콘기업이라고 볼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합니다 . 한때 4조원이 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으나 그 명성은 사라진 지 오래 , 현재는 계열사들과 수십 건의 소송 , 세납 채금 등의 문제에 얽혀 있는데요 .
업계에서는 무리한 사업확장이 옐로모바일의 성장 발목을 잡았다고 지적합니다. 옐로모바일에서 고위 임원을 맡았던 한 관계자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팅 3번 만에, 영업이익의 4배로 계열사 인수를 진행한다’는 기존 옐로모바일의 사업확장 방식이 문제가 있다고 꼬집기도 했는데요.
지난 2019년 기준 옐로 모바일의 부채는 5317억원 , 안정성 지표라 할 수 있는 부채비율은 532%에 달했습니다 . 정부가 권고한 부채비율 200%를 크게 넘어서는 것이죠 . 당시 한 회계법인은 ”옐로모바일이 계속 기업으로 존속할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하다 “라는 입장을 낸 바 있습니다 .
이외 국내 대기업이 스타트업에 보다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요 . 국내에서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대표 A 씨는 ”대형 인수합병을 할 수 있는 대기업들이 스타트업 시장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라며 ”그래야만 이들이 투자한 회사가 유니콘이 되고 이들이 상장을 통해 자금력이 풍부해지면 또 다른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라고 밝혔습니다 . 지금까지 높은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으나 흑자전환을 못 한 경우가 수두룩한 유니콘기업의 현실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 국내 유니콘 기업들이 향후 어떤 방안으로 적자 폭을 줄여나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