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가 홍국영을 숙청할 수 밖에 없었던 역대급 이유

홍국영은 정조의 동궁시절 부터 충성한 측근이었는데 정조가 왕이 되자 그 위세가 더욱 강해졌다.
"도승지"라는 직함은 홍국영을 상징하는 말이 됐고 신하들도 그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려 노력했을 정도
아예 노론의 수장 김종수는 "국영과 갈라서는 자는 역적이다." 라는 말까지 했다. 홍국영의 권세를 알 수 있는 부분.
홍국영은 권력을 쥐고 있었지만 만족하지 않았고 멈추지 않았다. 그의 여동생을 정조의 후궁으로 올려 더욱 큰 권력을 얻고자 했다. 여동생은 으뜸이라는 '원빈'(元嬪) 칭호를 얻었다.
하지만 여동생이 자식을 낳지 못하고 사망하자 홍국영의 구상은 실패했다.
신하들: 왕자도 못 낳고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시다니 안타깝구만.. 그래도 산사람은 살아야지. 왕가의 후손이 번창해야돼. 성상께서 새 후궁을 들이셔야지
홍국영: 안돼! 이대로 끝낼 순 없어!! 그리고 방법이 아예 없는 것도 아냐. 은언군 이인의 아들 상계군 이담이 있잖아!
홍국영은 새 후궁을 들이는 것을 반대하더니 무려 앞날 창창한 왕과 죽은 후궁에게 양자를 들이게 하는 무리수를 둔다. 상계군 이담을 죽은 원빈 홍씨의 양자로 들였고 봉호를 완풍군으로 고쳤는데, 이는 이씨 왕실(완산)과 홍씨 집안(풍산)이 하나 된다는 뜻이다. 사사로이 군호를 정했을 뿐만 아니라 군호에 자신의 야심을 드러내기까지 했다.
그간의 충성을 생각해서 홍국영을 곁에 두었지만 선을 넘어도 한참 넘었다. 정조는 젊은 날의 동지이며, 충신이자, 벗이었던 인물이 타락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게 됐다. 결국 그는 홍국영을 내치기로 한다.
이 때 정조가 홍국영을 불러 대화를 했다고 하는데, 아마 홍국영도 정조의 말을 듣는 순간 자신이 더 잘못했다간 죽을 수도 있단 걸 체감했을 것이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