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비찜·만둣국·빈대떡…입이 즐거운 설날
일일오끼⑫ 서울 설음식
떡 마니아가 찾는 이색 인절미
설날 빈대떡 2000장 굽는 전집
정통 이북 손만두 파는 만두집
길이 28㎝ 무게 1.2㎏ 대왕갈비
카페서 즐기는 부채모양 전병
설의 기억은 대개 음식과 얽혀 있다. 어렸을 적에는 설날 아침 뽀얀 떡국을 먹어야 정말 한 살을 먹는 줄 알았다. 가족이 둘러앉아 만두를 빚었고, 친척이 모이는 저녁상에는 평소 맛보기 힘들었던 갈비찜이 올라왔다.
설을 떠올리면 침부터 고이는 이들은, 요즘 들어 부쩍 간소해진 명절 풍속이 속상할 수도 있겠다. 너무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떡·갈비·전 같은 명절 대표 음식은 물론이고 전병 같은 추억의 음식을 만들어주는 식당과 가게가 있으니 말이다. 설 명절을 앞두고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서울 맛집 5곳을 골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떡집은 최길선(67)씨가 1996년 차렸다. 최씨는 58년 종로에 개장한 흥인제분소에 다니면서 떡을 배웠다. 최씨의 아들 사형제 중에서 첫째·셋째·넷째가 떡집을 이어받았다. 첫째 대로(38)씨는 경영을 맡고, 셋째 대한(33)씨와 넷째 대웅(31)씨는 떡을 만든다. 대로씨는 “우리 형제는 수능 전날에도 아버지 일을 도왔을 정도로 혹독하게 훈련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그 덕분인지 대한씨는 2011년 25세 나이에 경기도 선정 최연소 ‘떡 명장’에 올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집 명물은 길이 1.5m에 달하는 대형 프라이팬. 설 전날에는 녹두빈대떡 2000장을 이 프라이팬에서 굽는다. 전 한 장을 부쳐도, 팬을 달구는 화구 4개에 모두 불을 댕긴다. “반죽에 열기가 골고루 닿아야 전이 맛있게 익는다”는 게 이유다. 굴전·버섯전·고추전·파전 등 60가지 전을 판다. 전을 고르면 다시 기름에 부쳐준다. 모둠전(800g) 1만9000원. 2월 5~6일 휴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개업 38년째를 맞은 만두집은 2대 사장 옥혜경(70)씨가 어머니 한동숙(2004년 작고)씨의 레시피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두툼한 만두피에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버무린 소가 가득하다. 만둣국 한 그릇에 만두 6개가 나오는데 다 먹으면 배가 두둑하다. 국물은 우래옥 물냉면처럼 소고기 향이 진하다. 만둣국(1만1000원)과 녹두전(1만6000원)이 가장 인기인데 만두전골(6만원)에 술잔 기울이는 사람도 많다. 옥씨는 “어복쟁반을 응용했다”며 “정통 이북식이 아닌 엉터리 음식”이라고 너스레를 떤다.
명절이 다가오면 어김없이 사람들이 줄지어 포장 만두를 사간다. 한때 압구정 로데오거리의 상징이었던 맥도날드 입구까지 줄을 섰단다. 옥씨가 “우리 만두 사가서 며느리에게 직접 만들었다고 거짓말하는 시어머니가 많다”며 웃었다. 2월 3~6일 휴무.
삼청동 끝자락의 갈빗집 ‘북막골’은 꽃갈비(6~8번 갈빗대)를 토막 내지 않고 통째 굽는다. 그래서 ‘구석기 갈비(대 9만3000원, 중 5만3000원)’라 부른다. 뼈 길이만 26~28㎝, 무게 1.2㎏에 이른다. 워낙 살이 많고 뼈가 크다 보니, 먹기 좋게 가위질하기도 쉽지 않다. 처음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비주얼 쇼크’ 같은 시쳇말이 절로 떠오른다. 김종호(60) 사장이 고기를 뼈째 뜯는 만화 속 원시인의 모습에서 아디디어를 얻었단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대 앞에 별도로 둔 음식연구소가 비결이다. 여기서 매일 고기를 숙성하고, 2시간 정도 삶은 뒤 다시 급랭하는 과정을 거친다. 육즙을 가두고, 육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다. 갈빗대는 와인·배·사과 등을 곁들인 특제 마늘 소스를 흥건하게 부으며 굽는다. 한 입 넣으면 입 안 가득 담백한 육즙이 퍼진다. 2월 4~5일 휴무. 택배 주문 가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병에 대한 향수를 달랠 만한 가게가 있다. 연희동 주택가에 자리 잡은 ‘강성은명과’다. 강성은명과는 99년 경복궁 근처 10㎡짜리 작은 전병 가게로 출발했다. 강성은(68)씨가 운영했던 가게를 아들 강바울(36)씨가 물려받으면서 2017년 본점을 연희동으로 옮겼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바울씨는 아버지한테 배운 옛 방식 그대로 전병을 만든다. 쌀가루뿐만 아니라 밀가루도 국산을 고집한다. 철판에 과자 반죽을 쭉 짠 다음 호떡을 누르듯 반죽을 얇게 펴서 굽는다. 땅콩·피칸·코코넛 등 고명을 올리는데 파래 가루를 뿌린 파래전병이 가장 인기다. 80g에 4000~5000원. 전병 4~5개를 사면 선물용 박스로 포장할 수 있다. 연중무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양보라·최승표·백종현 기자 bora@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