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 문명의 비밀, 게놈으로 풀었다
인더스 문명 유적에서 발굴된 전형적인 무덤의 모습. 유골 화석은 남북 방향으로 누워 있고 주변에 부장품이 놓여 있다. 미국과 인도 연구팀은 이런 유골에서 DNA를 채취해 인더스 문명을 일군 사람들의 이주 경로를 밝혔다. 데칸대 제공 |
세계 4대 문명 가운데 하나인 인더스 문명을 일으킨 주인공들이 지금의 이란 지역에서 이주한 인류의 후손이라는 사실이 옛 인류 500여 명의 게놈(생명체가 지닌 DNA의 총합·유전체) 해독 결과 밝혀졌다. 이들은 자체적으로 농업혁명을 이뤄내며 수준 높은 도시 문명을 이룩했지만, 기후변화로 뿔뿔이 흩어져 동남아시아 및 유럽 유목민과 섞여 지금의 남아시아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비드 라이시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약 8000년 전부터 지금까지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 살던 사람 523명의 유골에서 게놈을 해독해 남아시아인의 이주 및 문명 진화 경로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와 ‘셀’ 6일자에 각각 발표됐다.
인더스 문명은 약 4500∼3500년 전 인도 북서부와 파키스탄 지역에서 번성한 고대 문명이다. 농업이 발달하고 ‘하라파’와 ‘모헨조다로’ 같은 배수로를 갖춘 인구 수만 명의 계획도시가 건설됐다. 메소포타미아 등 다른 문명과의 무역도 활발했다. 하지만 약 3500년 전 기후변화로 이 지역이 급격히 건조해지면서 인구 상당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했고, 문명은 붕괴했다.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고대 문명 중 하나지만, 덥고 습했던 옛 기후 때문에 유골에서 DNA를 채취하기 어려워 이들의 이동 경로를 밝히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인류가 이주하면서 현지에서 만난 다른 인류와 유전자를 교류하게 돼 섞인 유전자의 비율을 추적해 이동 경로를 밝힐 수 있었다.
라이시 교수팀은 인도 연구팀과 함께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 걸쳐 약 8000년 전부터 지금까지 살았던 인류 523명의 유골로부터 게놈을 채취하고 해독해 긴 시간에 걸친 인류의 이주 경로를 밝혔다. 또 인더스 문명의 대표 도시 중 하나인 라키가리에서 발굴한 61구의 유골에서 시료를 채취해 당시 인류의 정체도 파악했다. 라이시 교수는 “더위와 습기로 파괴돼 개개인의 게놈은 해독할 수 없었지만, 61명의 부분별 DNA를 모아 전체 집단의 게놈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인더스 문명을 이끈 사람들의 조상은 지금의 이란 지역에 살던 고대 이란인으로 나타났다. 고대 이란인의 조상은 그보다 더 서쪽에 위치한 지금의 터키 북동부 지역에 살던 인류로 확인됐다. 비유하자면, 인더스인의 어머니는 고대 이란인, 할머니는 터키 북동부 지역 인류인 셈이다.
터키 북동부 지역은 흔히 ‘비옥한 초승달 지대’라고 불리며, 농업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인더스인이 ‘할머니’ 터키 북동부 인류로부터 농업을 전수받았다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 농업 전수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터키 북동부에서 고대 이란인이 분리된 때는 1만2000년 전으로, 아직 인류 최초의 농업이 탄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더스 문명은 농업을 독자적으로 탄생시킨 셈이다.
한편 인더스 문명이 붕괴된 뒤 인더스인들은 동남아시아인들과 섞였다. 러시아 모스크바 남쪽 부근 초원지대(스텝)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유목민 얌나야족과도 섞였다. 이렇게 형성된 혼혈 인더스인들이 지금의 인도 등 남아시아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영어 등 유럽어와 인도어, 이란어, 러시아어 등 세계 30억 명이 쓰는 언어군인 ‘인도유럽어’가 유라시아에 퍼졌다고 밝혔다.
윤신영 동아사이언스 기자 ashill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