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 무쏘 EV 공개 4800만원부터 전기트럭 보조금 믿고?!
국산 픽업트럭 시장의 유일무이한 모델로, 시장을 독식하고 있던 코란도 스포츠에 이은 렉스턴스포츠 그리고 픽업트럭 시장을 확장한 전동화 픽업트럭 무쏘 EV를 공개했다.
![]() |
KGM을 회생시킨 토레스의 탄생 그리고 토레스 EVX, 토레스밴, 액티언으로 이어지는 파생모델로 라인업 확장과 함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게 된 토레스 기반으로 전동화 픽업트럭 '무쏘 EV'의 등장은 분명 국내 픽업트럭 문화를 바꾸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
특히, 렉스턴스포츠의 사실상 단종을 종용하는 기아 타스만이 공격적인 가격으로 출시를 한 만큼 KGM 입장에서는 무쏘 EV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 |
전동화의 장점, 세제 혜택 및 다양한 사용 환경을 만족하는 픽업트럭의 장점을 모두 담아내고자하는 무쏘 EV의 공식 출시에 앞서 기아 타스만에 집중된 시선을 나눠받기 위해(?) 급하게 모습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 |
공개된 무쏘 EV의 외관 특징은 저렴한 세제, 유지비를 전면에 내세웠던 렉스턴스포츠(구 코란도스포츠)와 차별화해 아웃도어에 초점을 맞추어 젊은 소비층에 어필하기 위함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다양한 스타일링 연출이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사양으로 데크(베드) 활용도에 매우 적극적으로 어필한다.
![]() |
무쏘 EV는 데크탑, 루프플랫캐리어, 스키드 플레이트, 데크디바이더, 롤바, 슬라이딩 베드 등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사양을 통해 데크의 활용성을 높이고 외관 스타일링 연출이 가능하다. 측면부는 데크와 보디가 하나로 구성된 차체 일체형 실루엣, 안정적인 비율이 특징이다.
![]() |
두터운 루프 디자인은 무거운 적재량에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함을 갖췄으며, 펜더 라인 및 사이드 가니시는 볼륨감이 강조됐다. C필러 가니시는 데크와 캐빈을 시각적으로 분리한다. 전면부에는 굵고 각진 보닛 캐릭터 라인과 블랙 그릴 등이 적용됐다.
![]() |
KGM 관계자는 "무쏘 EV는 픽업트럭 고유의 견고한 보디에 라이트와 그릴 등의 디테일 요소는 전기차의 이미지에 맞는 단순하고 깨끗한 디자인으로 구현됐다. 자신에게 꼭 맞는 연장을 손에 쥔 듯한 강렬함에 단순함을 결합한 균형감을 경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무쏘 EV는 토레스 EVX보다 용량이 높은 80.6kWh LFP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완충시 17인치 및 2WD 기준 상온 복합 401km(도심 435, 고속 359), 저온 복합 357km(도심 333, 고속 386)를 주행할 수 있다. 무쏘 EV 2WD는 전륜 싱글 모터로 최고출력은 207마력이다.
![]() |
공개 이후 무쏘 EV의 가격이 유출됐다. 유출된 공식 가격은 4800만원부터이다. 가격이 유출되자 시장에서는 아~라는 탄신이 먼저 나오는 상황이다. 상용 전기차로 분류되는 무쏘 EV 전기 픽업트럭은 승용 전기차보다 많은 보조금 및 소상공인 지원, 부가세 환급 등의 추가 지원받는 점을 고려해 높은 가격을 책정해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얇은 수를 쓰고 있는 것 같다는 의견이 대분이다.
여기에 전륜기반 싱글모터 구성은 아쉽게도 정통 픽업트럭과는 출발점부터 다른 구성으로, AWD 구동방식의 듀얼모터는 5월 출시될 예정이라는 내부 소식이 전해졌는데 가격을 최소 400만원 이상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픽업트럭의 다양한 스타일링과 활용도를 고려하면 전륜 싱글모터는 무쏘 EV의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으로, 무늬만 픽업트럭으로 겉으로는 아니지만 저렴한 세제, 관리 비용을 최대 이점으로 내세우는 렉스턴스포츠와 크게 다를바 없는 속내가 담겨져 있는 것은 아닐까? 한다.
Trend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