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 난감, ‘데시벨’
안 터져요..
데시벨 포스터. 사진I(주)마인드마크 |
아쉬운 믹스매치, 안 맞는 톤앤매너다. 묵직한 해군 스피릿과 긴박한 테러 액션, 조력 관계의 케미와 대치 관계의 긴장감, 소재를 살린 전반부와 주제를 강조한 후반부까지. 소재와 이야기, 유머와 스릴, 매력과 그 어필이 따로 노는, ‘데시벨’(감독 황인호)이다.
‘데시벨’은 소음이 커지는 순간 폭발하는 특수 폭탄으로 도심을 점거하려는 폭탄 설계자(이종석)와 그의 타깃이 된 전직 해군 부함장(김래원)이 벌이는 사운드 테러 액션.
어느 날 거대한 굉음과 함께 단독 주택이 폭발했다는 뉴스 속보가 전해진다. 뉴스를 지켜보던 전직 해군 부함장(김래원)에게 테러범(이종석)의 전화가 걸려오고, “소음이 커지면 터집니다. 다음 타깃은 축구 경기장이에요”라고 말한다. 테러범은 관중들로 가득 찬 축구 경기장을 다음 테러의 타깃으로 지목하고, 주인공은 계속되는 ‘특수 폭탄’의 위협 속에서 사상 최대의 도심 폭탄 테러를 막기 위해 사투를 벌인다.
‘소음 반응 폭탄’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내세운 전반부는 괜찮다. 주변의 소음이 일정 데시벨을 넘어가면 폭발까지 남은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들거나, 폭탄이 터진다는 설정은 일상의 모든 소음을 한순간에 위협으로 뒤바꾸며 긴장감을 조성한다. 주택가, 놀이터, 워터파크, 주경기장 등 인파가 몰리는 곳에 폭탄을 설치해 상태에서 소리로 인해 상황이 급격히 바뀌며 색다른 쫄깃함을 선사한다.
김래원은 카리스마 넘치는 분위기와 묵직한 내면 연기로 극을 안정적으로 이끈다. 카체이싱, 수중 액션 등 다채로운 액션을 직접 소화하며 생생한 장면을 구현하고, 특유의 아우라로 영웅적 면모도 자연스레 녹여내 극의 몰입도를 높인다.
데시벨 스틸. 사진I(주)마인드마크 |
하지만 여기까지다. 중·후반부로 갈수록 혼란스럽다. 테러범의 정체가 드러나고 숨은 사건의 전말이 공개되면서 톤이 바뀌는데, 자연스럽지도 조화롭지도 못하다. 반전이라기보단, 사실상 진짜 알맹이를 마지막에 꽉꽉 우겨넣고는, 인위적인 (나홀로) 감동으로 마무리 짓는다.
조력자이자 극의 환기구 역할을 맡은 정상훈은 작품 안에서도, 파트너 김래원과도 좀처럼 어울리질 못한다. 사건의 개입까진 ‘우연’이라고 쳐도, 갈수록 개연성은 떨어지고 감정선도 과하다. ‘낄끼빠빠’를 모르는 유머코드는 갈수록 긴장감을 깬다.
악역으로 분한 이종석도 애매하다. 초반부 목소리만 등장할 땐 가벼운 톤을 부자연스럽게 억눌러 다소 무게감이 부족하고, 중반부 본격 등장해 수려한 연기로 존재감을 펼치는듯 하지만, 숨겨진 사연이 자세히 묘사되면서 후반부에는 작품과 함께 정체성이 흔들린다. 인물의 서사와 장르적 쾌감 앞선 무드가 따로 놀면서 몰입감은 떨어지고 급격하게 진부해진다. 캐릭터를 비롯한 각종 주요 요소가 각개전투로 바빠 도무지 하나로 매끄럽게 봉합되질 않는다.
결정적으로 주부가 뒤바뀐, 외피와 알맹의 부조화다. 흥행을 위한 마케팅 때문인지, 영화는 소재 자체를 정체성으로 두고 ‘사운드 테러물’로 명명, 그에 맞게 편집했지만, (현실의 재난을 떠올리게 할 정도로) 비극적인 일을 겪은 해군들의 묵직한 이야기를 범죄 액션물 그릇에 담기엔 역부족이고, 어울리지도 않는다.
강렬하고도 다채로운 캐릭터들이 다수 등장하지만 갈수록 맥이 빠지고, 논스톱 액션에도 박진감이 떨어지는 것 역시 이때문이다. 김래원 이종석 정상훈 박병은 이상희 조달환 차은우 이민기 등 출연진은 화려하지만, 이에 한참 못 미치는 완성도다. 오는 16일 개봉. 러닝타임 110분.
[한현정 스타투데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