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기자의 ‘드라이빙’] 아우디 Q6 e-트론, ‘디자인의 아우디’ 명성 그대로
디자인의 아우디답게 볼드하고 세련된 외관, 만족스러운 전비와 주행 성능. 하지만 통풍시트 바람 약하고 MMI 내비는 여전히 답답한 수준.
굵은 캐릭터라인, 스포티한 스타일 강조… 전비·주행거리·성능 만족통풍시트·스마트폰무선충전패드 애매… MMI 내비 여전히 미흡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는 합리적인 수입 전기 SUV로 평가된다. / 원주=제갈민 기자 |
아우디 코리아가 중형 전기 SUV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미디어 시승행사를 지난 7일 개최했다. 직접 체험해본 아우디 Q6 e-트론은 ‘디자인의 아우디’ 명성 그대로 호불호가 적은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갖췄다. 다만 약간 아쉬운 점도 여전히 존재해 향후 이를 보완한다면 더 많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미디어 행사에서 시승을 진행한 모델은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이하 아우디 Q6) 트림이다. 아우디 Q6는 세부 트림에 따라 전면부 디자인이 조금씩 다르다. 시승 행사에 사용된 여러 아우디 Q6 퍼포먼스 트림도 앞범퍼 형상이 약간 다른 모델이 존재했다. 휠 디자인도 약간 다르다. 사소하지만 보다 많은 소비자들의 취향을 공략하기 위해 디자인 부분에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요소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트림 프런트 범퍼 형상은 옵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 원주=제갈민 기자 |
아우디 Q6는 전반적으로 입체적이다. 굵은 캐릭터 라인을 곳곳에 사용한 덕에 볼드한 느낌이 강하고 차체도 탄탄해보인다. 그리고 차량이 커보이는 효과도 있다. 특히 아우디 Q6의 2열 도어부터 리어램프까지 이어지는 볼륨을 살린 캐릭터라인은 스포티한 스타일을 강조한 요소로, 폭스바겐그룹 내에서 이러한 스타일을 갖춘 모델은 ‘폭스바겐 시로코’를 꼽을 수 있다. 리어램프는 아우디 Q4 e-트론 또는 Q8 e-트론 등 한 집안 전기 SUV 모델들과 비슷한 형상으로 패밀리룩을 갖췄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후면 디자인은 아우디의 전기차 Q4 e-트론 및 Q8 e-트론 등과 닮았다. / 원주=제갈민 기자 |
또한 ‘조명 회사’, ‘조명 맛집’ 등 아우디의 별명처럼 헤드램프의 디테일이 인상적이다. 헤드램프는 여러 개의 픽셀이 각각 빛을 내는데, 주간 주행을 할 때와 터널이나 어두운 야간 주행 시 램프 점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실내 조작부 중에서 운전석 도어 트림에 위치한 △도어 잠금 △헤드램프 △사이드미러 △메모리 시트 등을 조작하는 버튼과 스티어링 휠 좌우 버튼, 기어레버 등은 차량이 어두운 곳(터널 등)을 주행할 때 점등되는데, 아우디만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요소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실내 공간은 무난한 편이며, 파노라마선루프 덕에 2열 탑승 시에도 답답함이 적다. / 원주=제갈민 기자 |
운전석부터 오른쪽 중앙 송풍구 상단까지 뻗은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시원시원하며, 독특한 형태의 4포크 스티어링 휠은 재미있는 점이다. 동승석 앞 대시보드에 동승자가 사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1열 수납공간은 무난한 수준이다. 파노라마선루프는 2열 시트 헤드레스트(머리받침) 위치까지 선쉐이드(햇빛가리개)를 개방할 수 있어 2열 탑승객의 개방감을 높여주는 기능이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적재함 공간은 무난하며, 2열을 접을 경우 경사가 생긴다. / 원주=제갈민 기자 |
2열 시트는 왼쪽 6, 오른쪽 4 비율로 접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다만 트렁크 부분과 2열 시트의 경계 부분에 약간의 경사가 있다. 매트 등을 활용하면 차박도 가능해보이긴 한다. 트렁크 용량은 적지 않게 느껴졌으며, 트렁크 바닥을 들면 아래에 가방 하나 정도를 추가로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돼 있다.
시승 간에 가장 만족스러웠던 점은 전력소비효율(전비) 및 주행가능거리다. 서울 종각역에서 출발해 양평, 원주를 거쳐 돌아오는 코스로 왕복 주행 거리는 약 235㎞다. 출발 전 배터리는 93%, 주행가능 거리는 502㎞로 표기됐는데, 시승 후에는 배터리 잔량 45%, 주행가능 거리 210㎞로 나타났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트림 시승 목적지 서울 종각역 인근까지 7.3㎞를 남긴 지점에서 트립컴퓨터상 전비는 5.0㎞/㎾h 수준으로, 도착 시에도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 원주=제갈민 기자 |
단순히 시승 간 주행 거리와 남은 주행가능 거리를 더하면 약 450㎞ 정도로, 출발 전 주행 가능 거리에 비해 약간 차이가 나지만 이는 에어컨 가동에 따른 주행거리 단축 때문이다. 시승 간 에어컨을 가동하니 작동 전에 비해 주행 가능 거리가 약 55㎞ 정도 줄었다. 이를 감안하면 아우디 Q6 트립 컴퓨터에 표시되는 주행 가능거리는 대체로 맞는 셈이다. 전비는 5.0㎞/㎾h를 기록했다. 중형 SUV임을 고려하면 전비는 뛰어난 편에 속한다.
주행 성능은 무난한 편이다. 전기차답게 가속성능은 상당히 빠르고 출력도 뛰어나다. 제동성능도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100㎞/h 안팎의 속도에서 유입되는 풍절음이나 노면 소음은 크게 거슬리지 않는 정도며, 일반적인 주행 간 노면 진동도 무난하다. 다만 도로 연결부위를 지나갈 때나 살짝 파인 도로, 잔요철이 많은 구간 등에서는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충격이 약간 느껴졌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 원주=제갈민 기자 |
아쉬운 점은 스마트폰 무선충전패드 위치와 1열 통풍시트 세기, 기본 내장된 MMI 내비게이션 등이다.
무선충전패드 기능과 주행 간 스마트폰이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은 만족스럽다. 그러나 위치가 약간 애매하다. 무선충전패드는 가운데 비상등 버튼 앞 수납함에 위치하는데, 스마트폰을 가로로, 화면을 앞으로 보도록 해 비상등 버튼 쪽에 기울여 눕혀야 한다. 활용도가 약간 떨어지는 점이 아쉬운 요소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1열 실내 주요 수납함. 오른쪽 위 차키가 놓인 위치 왼쪽에 설치된 무선충전패드는 스마트폰 충전은 잘 되지만 스마트폰을 확인하려면 매번 휴대폰을 빼고 다시 끼워야 해 불편함이 있다. 콘솔박스 수납 공간은 약간 작게 느껴진다. / 원주=제갈민 기자 |
1열 운전석과 동승석 시트 통풍기능이 추가된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통풍시트 기능을 가장 센 3단으로 설정했음에도 바람의 세기는 국산차량의 통풍시트 1∼2단에도 부족한 정도로, 한여름 더위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느껴졌다.
MMI 자체 내비게이션 역시 아직까지 그래픽이나 길안내 기능이 다소 부족하다. 또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도 내비게이션 통해서 확인이 되지 않고, 내비게이션에 구간단속 관련 표시도 되지 않는다. 물론 대다수 소비자들은 애플카플레이 또는 안드로이드 오토 기능을 통해 국산 내비게이션을 사용하기에 MMI 내비게이션 활용 빈도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MMI 내비게이션. 그래픽이 국산 내비게이션인 티맵,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등에 비해 뒤떨어진다. / 원주=제갈민 기자 |
제갈민 기자 min-jegal@sisaweek.com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