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사망설까지 돌았던 삼성 이건희 회장 근황 "의식 없지만 접촉·소리에 반응"
![]()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 연합뉴스 |
오는 10일은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사진)이 심근경색으로 병상에 누운 지 만 5년이 되는 날이다. 그간 위독설, 사망설 등 각종 설을 일축하는 근황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재계 및 복수의 삼성 관계자들은 8일 현재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VIP 병실에 이 회장이 입원 중이며 그가 여전히 의식이 없으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회장은 접촉과 소리 등에 반응하고 있기 때문에 병실에서 영화와 음악 등을 켜놓는 ‘자극 요법’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그를 휠체어에 태워 복도 산책도 시켜준다.
![]() 삼성서울병원. 연합뉴스 |
병세나 치료 진행 상황이 구체적으로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인공호흡기나 특수 의료장비 없이 주로 병상에 누운 상태로 ‘자가 호흡’을 하고 있다.
입원 초기 그룹 임원들이 무의식 상태인 이 회장에게 수시로 업무 보고도 했는데, 이 역시 과거에 익숙했던 환경을 만들어 의식 회복에 도움을 주려는 자극 요법 중 하나였다는 후문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몇 년 전부터 증권가 정보지 등을 통해 수차례 위독설, 심지어 사망설까지 돌았으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장기 입원에 따른 합병증 우려도 있지만 철저한 치료와 관리로 예방에 힘쓰고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 왼쪽부터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이재용 부회장. 연합뉴스 |
앞서 이 회장은 2014년 5월10일 서울 이태원동 자택에서 급성 심근경색을 일으켜 쓰러졌다.
이 회장은 자택 인근 순천향대학 서울병원에서 심폐소생술(CPR)을 받은 뒤 다음날 새벽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겨져 막힌 심혈관을 넓혀주는 심장 스텐트 시술을 받았다.
이후 심폐기능이 정상을 되찾자 입원 9일 만에 중환자실에서 병원 20층에 있는 VIP 병실로 옮겨져 지금까지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 |
한편 이 회장의 아들 이재용 부회장(사진)은 지난해 5월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집단 동일인 변경에 따라 이 회장으로부터 ‘삼성 총수’ 자리를 물려받았다.
올 5월은 이 회장이 병상에 누운 지 만 5년 째인 동시에 이 부회장이 총수로 지정된 지 만 1년이 되는 셈.
그동안 이 부회장은 회장 공백 상태에서 국정농단 최종심 재판, 삼성바이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등 대내외 어려운 환경과 난제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이 가운데 그는 재계 1위 삼성그룹 총수로서 당초 세간의 우려에 비해 무난히 안정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이건희 회장 일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이건희 회장의 딸 서현, 아들 재용, 이건희 회장,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런던=연합뉴스 |
이 회장의 배우자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가족은 수시로 병원을 찾아 그를 문안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봄이 온라인 뉴스 기자 sby@segye.com
사진=뉴시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