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몰랐지? 쫀득한 고단백 슈퍼곡물 ‘파로’
[리얼푸드=육성연 기자]보리인 것 같으면서도 보리와 다른 특징을 가진 곡물,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한 ‘파로’(Farro)입니다.
파로는 지중해와 서아시아 지역에서 수천년 간 사용돼 왔던 고대 곡물입니다. 이탈리아에서는 파로 요리가 많지만 국내에서는 이름조차 낮선 곡물인데요. 최근들어 퀴노아, 아마란스 등의 고대 곡물이 인기를 끌면서 파로 역시 영양학적 측면이 재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 |
파로는 밀과 보리의 중간 곡식이라도 생각하면 쉽습니다. 보리처럼 생긴 파로는 갈색빛이 돕니다. 단단해 보이는 겉과는 달리 속은 찰옥수수처럼 쫀득한 맛이 납니다. 건강에 이로운 통곡물이기 때문에 정제된 백미나 흰 밀가루를 대신할 식재료로 이용되기도 하는데요. 뉴요커들을 사로잡은 한식당들은 파로를 비빔밥에 넣어 인기를 끌기도 합니다.
![]() |
다만 파로에는 글루텐이 포함돼 있어 글루텐에 예민한 이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파로가 가진 영양소나 요리 활용성은 다이어터나 통곡물로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려는 이들에게 충분한 매력을 줍니다. 파로에는 식이섬유, 단백질 및 필수 미네랄과 비타민이 함유돼 있어 정제된 곡물을 맛있게 대체할 수 있습니다.
▶식물성 단백질ㆍ 식이섬유
![]() |
파로는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녔습니다.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다량 들어있는데요. 파로 1/4 컵(47g)에는 단백질 6g이 들어있습니다. 이는 고단백질 식품으로 유명한 퀴노아와 비슷산 수준으로 백미보다 약 2배 정도 높습니다. 식이섬유 역시 현미나 통밀보다 많아 포만감을 높이고 장 건강에도 좋습니다. 또한 통곡물인 파로는 혈당 지수가 낮아 급격한 혈당 상승을 방지합니다.
▶ 폴리페놀
![]() |
파로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과 카로티노이드의 훌륭한 공급원이기도 합니다. 폴리페놀은 심장병과 당뇨병, 뇌졸중 및 일부 암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샐러드ㆍ파스타ㆍ수프 등 다양한 이용
![]() |
파로는 요리시간에 따라 질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단하거나 죽 같은 걸쭉하거나 부드러운 질감으로 다양한 요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씹히는 식감과 고소한 맛을 지녀 샐러드에 넣으면 잘 어울립니다. 아침에는 익힌 파로를 우유에 넣고 바나나 등의 과일이나 견과류, 꿀을 혼합해 오트밀이나 그래놀라처럼 먹을 수도 있습니다. 버섯을 넣은 리조또 형태로도 많이 이용되며, 케일이나 토마토가 들어간 수프에 활용해도 좋습니다.
gorgeou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