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태풍이라던 솔릭…서해 깊은 찬물이 힘 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초 태풍 솔릭은 제주 부근을 지날 때만 해도 폭우와 강풍을 동반했고, 수도권을 관통하면서 큰 피해를 낼 것으로 우려됐다.
하지만 태풍은 예상보다 훨씬 남쪽인 전남에 상륙했고, 피해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상전문가들은 태풍 솔릭이 제주 부근에 오래 머물면서 힘을 때 소진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천리안 위성에서 본 태풍 솔릭의 모습 [자료 기상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한 바람으로 가로수가 쓰러지고, 창문이 흔들리면서 태풍이 지나는 길목의 주민들은 밤잠을 설쳐야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태풍으로 이날 오전 4시 현재 실종 1명, 부상 2명, 이재민 11가구 25명 등 인적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제주와 전남, 광주 일원의 주택과 상가, 축사 등 2만2840곳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23일 새벽 제주도에는 강풍과 함께 폭우가 쏟아졌다.
제주 한라산 진달래밭에서는 23일 오전 4시 25분경 최대순간풍속이 초속 62m에 이르렀다.
또 한라산 사제비에는 22일 이후 23일 정오까지 971㎜, 윗세오름에는 885.5㎜의 폭우가 쏟아진 것을 비롯해 제주도에서는 200㎜ 안팎의 비가 내렸다.
하지만 태풍은 23일 낮 제주도 부근 해상에서 시속 4~8㎞로 느리게 움직였다.
제주 부근에서 '걷는 속도'로 맴돈 것이다.
23일 오후 9시 목포에 상륙하기 전에 이미 태풍 솔릭의 중심기압은 975 hPa, 중심 최대풍속은 32m(115㎞)로 세력이 약해진 상태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인 문일주 교수는 "서해에는 서해 저층 냉수라는 게 있다"며 "수심 30m만 내려가면 수온이 10도 이상 낮아진다"고 말했다.
태풍은 수온 1도만 낮아져도 영향을 받는데, 태풍이 제주 부근에서 오래 머물면서 표층과 저층을 섞었고, 그 바람에 수온이 내려갔다는 것이다.
문 교수는 "이어도 과학기지에서 측정한 해수 온도를 보면 태풍 접근 전후로 6도나 낮아졌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태풍이 느리게 이동한 것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동쪽으로 수축하면서 태풍 솔릭이 방향을 잃은 데다 편서풍도 약했기 때문이다.
북태평양 고기압이 수축한 것은 제20호 태풍 '시마론(CIMARON)'이 일본 열도를 관통하며 북상한 데 따른 것이다.
문 교수는 "태풍 솔릭이 목포에 상륙할 수 있었던 것은 그나마 단단한 형태인 '원통형' 태풍이었기 때문에 가능했고, 일반 형태의 태풍 같았으면 서해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소멸됐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상청에서 역대급 태풍으로 수도권을 관통할 것이라고 '오보'를 내면서 결과적으로 시민들의 관심과 대비를 유도한 측면이 있다.
지난 2007년 9월 태풍 '나리(NARI)'가 제주와 전남 지역을 강타했을 때는 주민 20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당시 제주시 고산에서 최대 순간 풍속이 52.1m을 기록했고, 한라산에는 500㎜ 안팎의 많은 비가 내렸다.
이로 인해 제주 시내 하천 복개도로에 주차된 차량 100여 대가 급류에 휩쓸려 파손됐으며 특히 제주시 중심부를 흐르는 4대 하천이 모두 범람, 건물 200여채가 침수돼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다.
당시에 큰 피해가 발생한 것은 강풍과 폭우 탓도 있지만, 지방자치단체나 시민들이 대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교수는 "그동안 제주에는 홍수에 대비해 하천 상류에 저류지를 건설하는 등 대비를 했기 때문에 1000㎜가 넘는 폭우에도 피해가 작았다"고 말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중앙일보 (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