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한발 한발 진행되는 중국의 공급망 모니터링 체계

SUMMARY

- 글로벌 공급망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가는 중국

- 전자 봉인 기술로 전 세계 물류 데이터를 장악하면 특정 자원 확보에 유리

- 대한민국은 품귀 자원 확보에 불리하므로 중국 공급망에서 완전히 빠지는 것을 지양할 필요

 

© istock

 

골칫거리였던 컨테이너 2023년 3 월 25 일, 제네바에 있는 국제 표준화기구 중앙 사무국이 컨테이너 자물쇠(봉인) 국제 표준을 공식 발표했다.(관련링크) 공식적으로 화동사범대학(华东师范大学) 의 바오치판(包起帆) 교수가 컨테이너 국제 표준 "ISO / TS 7352 : 2023 컨테이너 NFC / QR 코드 씰"의 개발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 표준 분야에서 컨테이너 봉인이라는 것은 화물주가 화물을 컨테이너에 집어넣은 후 잠그고 나서 봉인을 하는 것을 말한다. 목적지에 도착해서 봉인이 뜯어져 있으면 운송을 담당한 물류 회사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 목적지 국가의 세관에서는 이 봉인을 확인하여 화물을 보낸 화주를 인정하고 봉인을 뜯은 후 화물 내용을 검사하게 된다. 그리고 화물의 문제가 발견되면 이번에는 화주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

그동안 컨테이너 봉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우선 봉인의 복제 가능성에 대한 우려이다. 과거에는 봉인을 열어 보고 원래의 봉인을 위조하여 다시 설치하는 범죄가 자주 있었다. 그래서 책임 소재를 둘러싸고 분규가 발생하곤 했다.  세관이나 품질 검사에서 한번 봉인을 열면 그 이후 최종 목적지까지 가는 동안 내용물이 보장이 되지 않는 것도 문제였다.

더불어 컨테이너와 그 내부 화물의 소유주, 그리고 각 운송 업체가 다른 점은 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얼마 전에 컨테이너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데 이용되고 다시 본국으로 돌아오지 않아 국제적인 문제가 됐다. 여기에는 행정적으로도 두 개의 문제가 존재한다. 하나는 불법적으로 열리거나 교환하기 쉬워 물류 프로세스, 밀수, 화물 도난 및 기타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둘째, 자동 식별 기능이 없기 때문에 상자 씰을 설치할 때마다 관련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해서 효율성이 낮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물류 회사는 목적지까지 컨테이너를 가져다 놓으면 책임이 종료된다. 화물의 주인은 컨테이너째 가져가는 경우도 있지만 통상 컨테이너 안의 화물만 가져간다. 그럼 컨테이너는 방치된다. 방치된 컨테이너는 보관료를 내야 한다. 이 보관료는 대부분 물류 회사 부담이다. 얼핏 생각하면 컨테이너를 다시 원 위치로 보내면 될 것 같지만, 출발지가 컨테이너 소유주의 장소가 아닌 경우가 많다. 그래서 출발지로 보내도 거기서 다시 보관료가 발생한다. 다만 이번에는 운임까지 더 들었을 뿐이다.

 

중국의 전자 봉인으로 쉽게 찾는다 컨테이너는 전 세계를 돌고 돈다. 결정적으로 컨테이너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가 없다. 내 컨테이너가 현재 전 세계 어디쯤 있는지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전자 봉인’ 개념이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이런 전자 봉인을 만들어 제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큰 기술적 문제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자 봉인의 위치를 확인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 대목에서 중국이 기술적 강점을 발휘했다.

중국은 독자적인 GPS 위성 체제인 베이도우(北斗) 시스템을 완성했다. 이 베이도우를 활용하여 전자 봉인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여기까지는 과거에도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과거에는 전자 봉인이 자신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하지만 베이도우는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은 어렵지만 자신의 좌표와 같은 미량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선박 사고가 나거나 침몰 위험에 처하면 베이도우 위성을 통해 SOS 신호를 전할 수 있는데, 이때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실로 간단하지만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전자 봉인 자체는 간단한 기술이지만 저가의 위성 통신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위성 체제가 없는 이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기존의 미국과 러시아의 GPS 시스템은 이런 쌍방향 통신 기능이 없다. 현재로서는 중국의 베이도우가 지구상에서 유일무이한 것이다.

바오치판 교수의 팀은 베이도우 및 저궤도 위성을 기반으로 한 지상 통합 컨테이너 모니터링 터미널과 컨테이너 NFC / QR 코드 봉인과 같은 일련의 제품을 개발했다. 그 결과 “상하이 과학 기술 발전 및 중국 내비게이션” 부문에서 1 등을 수상했다. 그러니까 전자 봉인을 읽을 때 스마트폰의 NFC 기능이나 QR코드를 읽게 하였고 또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NFC의 경우 무인화로도 구현 가능하다. 

 

기술 뒤편에 숨은 중국의 속내 자오춘지(赵春吉) 시노트랜스 컨테이너 운송 유한공사 총경리는 시노트랜스 컨테이너 운송 유한공사가 2019년부터 이 전자 봉인을 최초로 사용했으며 중국-일본, 중국-한국, 동남아시아 노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시노트랜스는 중국 최대의 컨테이너 운송 업체이다. 중국 최대의 컨테이너 운송 업체라는 것은 세계 최대 컨테이너 운송 기업이라는 뜻이다. 그러니 한국과 동남아시아를 왔다 갔다 하는 대부분의 컨테이너에는 이 중국의 전자 봉인이 달려 있을 테다. 덕분에 중국은 이들 컨테이너가 어떤 화물을 싣고 어디에 가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보도된 바오치판 교수는 1951년 생으로 70대의 고령이다. 엔지니어이며 발명가로 알려진다. 오랜 기간 항만 운수 방면에서 공무원으로 일해왔고 현재 국제 항운 물류 연구원(国际航运物流研究院) 원장을 겸하고 있다. 또 중국 발명 협회 부회장도 겸한다. 정치적으로는 전국인민대표를 역임했고 이제 중국의 공학계를 대표하는 사람 중 하나로 정협 위원에도 이름을 올렸다. 그러니 단순한 엔지니어가 아니라 행정가이며 또한 정치가인 셈이다.

 

바오치판 교수

 

이런 바오치판 교수가 자기 손으로 NFC / QR 코드 봉인을 개발했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심지어 프로젝트 관리를 맡는다고 해도 실무적인 일을 할 연령은 아니다. 더구나 중국의 사회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관리자로서의 직무를 맡는 것도 어울리지 않는다. 그는 여러 차례 발명가, 기술자로서 상을 탔다. 이런 다방면의 경력을 고려할 때 이 프로젝트의 상징성, 그리고 정치성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전략적으로 이 기술을 개발했고 또 이 기술을 통해 국가 전략을 실현하고자 할 가능성 말이다.

 

중국의 新무기 ‘공급망 모니터링 체계’ 중국이 만든 봉인은 바오치판 교수를 앞세워 세계로 확산되어 갈 것이다. 그리고 전자 봉인이 달린 컨테이너의 화물 정보와 현재 위치는 시시각각 중국 정부의 데이터베이스로 집결될 테다. 심지어 전자 봉인이 아닌 QR코드 봉인이라 하더라도 중국의 손이 미치는 항구, 물류 플랫폼 등을 거치면서 데이터가 수집될 것으로 보인다.

왜 이런 물류 데이터가 중요한가? 그것은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의 공급망 분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작년에 요소수 파동을 겪었다. 만일 우리가 요소수 관련 화물의 물동량을 파악하고 있었다면 조기 경보가 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지금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고 조기 경보 체제를 만들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제 세계에서 특정 자원, 상품 등이 품귀 현상을 보이거나 문제가 생기면 누구보다 먼저 중국 정부가 이를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부족한 자원을 먼저 확보해갈 것이다. 우리나라가 중국과 동시에 정보를 입수했더라도, 중국의 경제 규모는 자원 확보 측면에서 우리를 압도할 테다. 그러니 중국이 자원과 원자재를 먼저 휩쓸어간 후에야 우리가 자원을 구하려고 나선다면, 황량한 들판에 남은 낟알들을 다른 중소 국가들과 다퉈야 하는 상황이 될지도 모른다.

 

무방비 상태의 대한민국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필자는 모른다. 그럼 우리 정부는 알까? 그럴 리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대체로 무방비 상태에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중국은 한발 한발 글로벌 공급망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해 나갈 터. 수 년 후에는 중국이 전 세계 공급망 물류 정보 대부분을 장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리는 만일을 생각해서라도 중국의 공급망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는 일을 막아야 한다. 시쳇말로 빨대를 꽂고 있어야 할 것이다. 만일을 위해서 말이다. 그런데 누가 그런 일을 할까? 삼성이? SK가? 대한민국 정부가? 이런 부담은 또다시 우리 보통 사람들의 몫이 되기가 쉽다. 그러니 우리라도 눈을 크게 뜨고 지켜보자. 중국의 공급망 모니터링 시스템이 어떻게 진행이 되어 가는지.

 

투자자 유의사항: 이 콘텐츠에 게재된 내용들은 작성자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해당 글은 필자가 습득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오늘의 실시간
BEST
invest_7
채널명
이철
소개글
現) 중국 전문가 現) 『중국의 선택』, 『중국 주식 투자 비결』, 『이미 시작된 전쟁』 중국 전문 도서 저자 現) '이박사중국뉴스해설' youtube, 중국 뉴스 사이트 '이박사 중국 뉴스' 운영자 前) , , , , , , 출연 중국에서 20년 넘게 거주하며 활동하고 이제 중국 사회, 경제 등 전반에 걸쳐 관찰하고 분석하고 해설하고 있습니다. 거시적 안목에서 중국과 우리를 이해하고자 노력 중입니다. #북경이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