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 분류 - 펩시 제로 콜라, 막걸리, 의약품
요즘 제로 콜라, 제로 소주 등 다양한 제로 슈가 제품에 비상사태가 나왔습니다. 바로 아스파탐이 WHO에서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되면서 큰 공포를 몰고 왔기 때문입니다. 아스파탐에 대해 알아보면서 관련 제품도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파탐이 뭐길래? 뜻 알아보기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의 단맛을 내는 사카린과 같은 인공 감미료로 미국 제약회사에서 위궤양 치료제를 개발하던 중에 우연하게 개발되었습니다.
제로 슈가 음료 제품이 단맛이 나는 비결은 바로 이 아스파탐 같은 인공 감미료입니다. 적은 양으로도 큰 단맛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일명 다이어트 설탕으로도 불렸습니다.
- WHO 발암가능물질 분류 확정
세계보건기구 WHO가 이러한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물질 분류군 2B로 분류했습니다.
발암 가능물질 분류군 2B는 피클이나 김치도 들어가 있는데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증거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여기에 분류됩니다.
추가로 아스파탐은 체중 1kg당 40mg의 일일섭취허용량을 발표했으며 과다 섭취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점은 분명하다는 것을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이양은 하루에 펩시 제로 콜라를 하루에 55캔 이상 마셔야 섭취할 수 있는 양으로 과도하게 많이 먹지 않으면 안전하다는 말과 같습니다.
|아스파탐 지우기 행렬
과도하지 않으면 안전하지만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아스파탐 이미지가 이미 과거 사카린이나 MSG처럼 외면받을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식품 유통 기업들은 아스파탐을 제외하고 제품을 출시하려고 노력하면서 일명 "무 아스파탐"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이미지에 타격을 받았던 막걸리 업계에서는 이미 대책을 마련하여 대체 원료를 찾고 있으며 CU 편의점에서는 "백걸리"를 출시하면서 아스파탐이 들어가지 않은 걸 강조하면서 마케팅에 나서고 있습니다.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에도 아스파탐 지우기에 나섰습니다.
© 서울경제
의약품에서는 약의 쓴맛을 줄이기 위해서 알약, 시럽제, 비타민제 등에 들어가는데 700개 의약품에 들어가 있습니다.
업계는 어린이용 감기약 시럽에 들어가 있는 아스파탐을 다른 인공감미료로 대체하기로 했는데 이유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더라도 어린이 타깃층 특성상 소비자 불안감이 더욱더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불안감 해소를 위해서입니다.
|제로 음료는 오히려 매출은 오른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거라고 생각했던 제로 음료의 경우는 어떨까요?
아스파탐의 이슈가 불거진 7월 1일부터 16일 사이 매출은 오히려 전년 동기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 비즈워치
물론 지난해보다 제품 가격이 상승해서 매출 상승 변화가 이루어졌지만 그것을 고려해도 판매량 감소가 크지 않은 것입니다.
- 이런 매출 상승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 과거에 MSG나 사카린 논란에 이어서 첨가물 논란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면서 인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MSG의 경우 화학조미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대표적 사례였습니다.
둘째 - 유튜브나 소셜미디어 등으로 정보 접근성이 빠르고 정확해졌습니다. 물론 괴담도 빠르게 퍼지지만 정확한 정보 또한 빠르게 전파되면서 정보의 정확성과 접근성이 달라졌습니다.
아스파탐은 대부분의 제로 음료에 들어가 있습니다. 일반인의 경우 정말 엄청나게 섭취하지 않는 이상 문제가 없다고 결론이 났지만 당뇨병 환자의 경우 여전히 인공감미료를 섭취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섭취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이 콘텐츠에 게재된 내용들은 작성자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해당 글은 필자가 습득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최종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자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