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정수영 매스아시아 대표 “퍼스널 모빌리티, 규제만 갖춰지면 ‘고고씽’ 합니다”

대중교통 결절구간 담당하는 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 등 규제 미흡에도 1인 교통수단 각광

지자체서도 친환경 라스트마일 관심, 규제 샌드박스 활발

정수영 매스아시아 대표가 전동킥보드를 타고 퍼스널모빌리티 사업의 잠새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정수영 매스아시아 대표에게 전동킥보드는 ‘아픈 손가락’이다. 전기자전거는 지난 2018년 규제가 갖춰졌지만 전동킥보드는 가이드라인이 없어 여전히 눈총을 받는 신세이기 때문. 최근에는 운전면허 없는 사용자가 안전장비 없이 전동킥보드를 타다 사고를 내기도 해 세간의 따가운 시선이 더해졌다.


전동킥보드는 합당한 규제만 마련되면 시장을 꽃 피울 수 있다는게 정 대표의 확신이다. “어디를 다닐 수 있다는 배정도 제대로 안돼 있고, 사용자들에게도 안전하게 타는 법 교육이 안돼 있으니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규제가 해결되면 인식도 갖춰집니다.”


전기자전거나 전동킥보드 등은 사용자가 동력을 이용해 단거리를 이동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퍼스널 모빌리티(PM)’ 내지는 ‘스마트 모빌리티(SM)’라고 불린다. 대중교통에서 내린 후 걸어야 하는 결절구간이나 1마일(1.6km) 내외의 짧은 거리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교통수단이다. 외국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후 목적지까지의 구간을 담당한다는 뜻에서 PM을 ‘라스트마일’ 사업의 대표주자로 보고 있다.


정 대표는 라스트마일이 일상과 도시의 지형도를 바꿔놓을 것이란 확신으로 2017년 창업에 뛰어들었다. 중국 등 외국에서의 활발한 공유경제 정착이 확신의 배경이었다.


“2016년 말 공유경제 기반 서비스를 열기 위해 중국부터 유럽, 미국을 살펴봤는데 특히 중국에서 붐이 일고 있었어요. 중국은 소비자들이 자전거 사용에 익숙했고, 신사업은 우선 해보고 나서 상황에 맞춰 규제를 만드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었습니다. 지하철역에 빼곡히 몰려있던 공유자전거가 퇴근시간에는 아파트단지에 차곡차곡 들어서는 모습을 보고 PM이 결절구간을 해결하기에 적격이라 생각했습니다.”


준비는 2017년 중반에 다 끝냈지만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후인 11월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시범서비스를 하더라도 제도권 안에서 시도해야 안착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당시 전기자전거는 허용되지 않아, ‘에스바이크’라는 브랜드로 일반 자전거부터 출발했다. 법 개정으로 2018년 전기자전거도 자전거도로를 다닐 수 있게 되고, 시속 25km라는 적정 속도가 규정된 이후 매스아시아도 2019년 전기자전거로 전향했다. 브랜드도 ‘고고씽’으로 바꿨다.


정 대표는 “다행히 서울시에서는 ‘따릉이’가 먼저 길을 낸 경우라 사용자들의 인식이 잡혀있었다”고 전했다. 문제는 여전히 규제 사각지대에 있는 전동킥보드다. 전동킥보드는 규정 속도와 주행 구간에 대해 여전히 구분이 불분명하다. 보행자 안전을 감안하면 보도를 다니기 어렵고, 도로를 달리자니 차량 주행에 방해된다는 민원이 쏟아진다. 업계에서는 시속 25km를 적정 속도로 보고, 자전거전용도로를 달리게 해달라고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지만 법 개정이 차일피일 미뤄져왔다.


규제 미흡은 고스란히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에게 ‘눈칫밥’으로 돌아왔다. 도로를 달리려는 전동킥보드를 두고 고라니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 같다며 ‘킥라니’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그러나 정 대표는 합당한 규제만 마련된다면 문제가 상당부분 해결된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라스트마일은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에서 환영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규제 정비 후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게 정 대표의 판단이다.


“교통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나홀로 차량(혼자 타고 다니는 차량)’이 7년 동안 82%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요. 택시를 봐도 전체 이동 중 단거리 이동이 60%인데, 특히 길거리 배회영업은 62%가 단거리 이동입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하기 위해서라도 결절구간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라스트마일이 절실해요.”

정 대표는 “활발한 규제 샌드박스 실적으로도 지자체와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고 전했다. “규제 샌드박스만 해도 매스아시아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부, 세종시, 서초구, 화성시 등 여러 기관들과 손잡고 진행중입니다. 사업 초기만 해도 지자체에 연락하면 이 부서 저 부서로 전화를 돌리기 일쑤였는데, 이제는 담당 부서들이 확실해졌고 많은 지자체들이 참여를 원하고 있어요.”


지자체와의 규제 샌드박스만 해도 프로젝트가 다양하다. 화성시에서는 전동킥보드로 자전거도로 통행을 할 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규제 샌드박스를 진행중이다. 동탄에서는 아예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설계해 초등학교 인근을 지날 때에는 저절로 속도가 줄어들게 했다. 주차는 정해진 장소에서만 할 수 있게 했다.


서초구에서는 자전거도로 중심으로 주행하면서 이면도로도 탈 수 있게 했다. 운행데이터 기반으로 이용자들이 많이 주차하는 지역을 찾아 권고 주차구역을 만들어놓기도 했다. 세종시에서는 수요예측 시스템을 확인하는 샌드박스다. 유동인구나 날씨, 교통 서비스 등의 데이터를 넣어 반납·운영 방식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정 대표는 “화성시에서는 시범운행에 들어가지 않은 구역 주민들이 ‘우리도 넣어달라’고 건의할 정도로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공유 PM 서비스를 시행하는 다른 회사들이 플랫폼 구성에만 집중하는 것과 달리, 매스아시아는 전기자전거부터 전동킥보드까지 전 제품을 중국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방식으로 만들고 있다. “공유서비스에 적합하지 않은, 내구성이 약한 모델을 사용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낼 때 제약이 생깁니다. 제품의 성능을 개선할 때에도 기존 제품과 호환되지 않으니 소비자 불편이 쌓일 수밖에 없어요. 킥보드에서 끝내는게 아니고 다양한 모빌리티로 진화시키려면 하드웨어를 자체 설계할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했던 초기에는 소비자들이 불특정 다수와 제품을 공유하는 것을 꺼려 공유경제가 타격을 받지 않겠냐는 우려도 있었다. 그러나 오히려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인식되고 있다는게 매스아시아 측 설명이다. “초기에는 재택근무 등으로 유동인구가 적어져서 서비스 이용이 저조했지만, 이동이 재개되면서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을 타지 않고 홀로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로 이동하겠다는 이들이 많아졌어요. 마스크 쓰고, 소독하고 타면 큰 우려가 없습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PM을 권장하는 입장입니다.”

정수영 매스아시아 대표. 이상섭 기자

정 대표는 데이터로서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업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매스아시아의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에는 사물인터넷(IoT)과 연결된 추적장치가 있어서, 사용자들의 최종 목적지 데이터가 매일 쌓인다. 사용자별, 시간대별로 유동인구의 흐름도 확인할 수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와 달리 PM은 사용자가 가는 최종 목적지가 정확히 보입니다.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이동 정보가 다 모이고 분석되기 때문에 최근 스마트시티 설계에도 라스트마일 데이터를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외부에서는 킥보드 빌려주는 사업 정도로 보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유동인구의 흐름을 가장 밀접하게 볼 수 있는 엄청난 사업입니다.”


사용자들이 향한 목적지에서 어떤 결제가 이뤄지는지까지 본다면 데이터의 활용도는 더욱 커진다. 외국에서는 그랩이 차량공유, PM공유 등에 이어 결제까지 연계해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있다. 다른 사업과의 활발한 연계를 위해서도 PM 규제 정착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현정 기자

오늘의 실시간
BEST
heraldcorp
채널명
헤럴드경제
소개글
앞서 가는 비주얼콘텐츠페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