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엔 후추 ‘팍팍’ 이유는
약방의 감초
16. 후추 산초 생강 등 향신료 편
소화 돕고 식중독 균 억제 효과도
이데일리에서는 알면 약이 되고 모르면 독이 되는 우리 주변의 약이 되는 음식 이야기를 대한한의사협회의 도움을 받아 연재합니다. 산천을 누비던 동물들은 몸에 좋다고 잘 못 알려지며 남획으로 사라졌고 흔히 볼 수 있던 풀들도 하나둘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연재를 통해 진짜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찾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편집자주]
며칠째 이어진 장맛비에 옷은 물론 몸까지 눅눅해진 기분입니다. 선풍기나 에어컨 앞에 앉으면 잠시 습기를 날려버릴 수 있지만, 몸에 쌓인 습기까지는 없애지 못한다고 합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향신료만 잘 활용해도 몸 안에 습기를 날려버릴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김계진 사계절한의원장은 “몸이 습하면 소화기능이 떨어진다”며 “이럴 땐 강한 향기가 나는 곽향, 사인, 초두구, 향유 등과 같은 약재를 쓴다”고 설명했습니다.
꿀풀과 배초향(곽향) (사진=본초감별도감 제공) |
곽향은 방아잎, 방아풀의 약명입니다. 특유의 향기 때문에 바질이나 회향, 박하와 비슷한 종류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코리아 민트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장어탕이나 추어탕, 감자탕 등에 넣어 잡냄새를 없애는 용도로 예부터 활용해왔습니다. 한의약에서는 땀을 내고 습함을 없애며 비위의 기를 잘 통하게 하는 용도의 한약재로 구분해왔습니다.
사인은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양춘사의 과실로 만든 약재입니다. 위장 기능장애로 인한 소화불량, 구토에 쓰이고 위장이 찬데다가 찬 음식을 먹어서 통증을 일으킬 때도 약으로 씁니다. 한약재로 쓰는 초두구는 생강과 식물인 초두구의 거의 익은 씨를 말린 것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소화불량이나 위장의 통증, 구토에 쓰이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향유는 꿀풀과 식물 가는잎산들깨의 지상부를 말린 것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곽란으로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는 것을 치료할 때 쓴다고 기록됐습니다.
이같은 약재 대부분이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몸이 습하다고 바로 한약을 구해 먹기는 쉽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은 집에서도 음식으로 섭취가 가능하다고 조언합니다.
후추(사진=픽사베이 제공) |
대표적인 향신료가 후추, 산초, 생강입니다. 각종 음식에서 잡내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향신료입니다. 후추는 설렁탕이나 콩나물국을 먹을 때, 산초는 장어탕이나 추어탕을 먹을 때 곁들이는 향신료로 익숙합니다. 생강은 김치나 고기양념장 등에 빠지지 않는 양념입니다.
최고야 한의학연구원 박사는 “각각 작용 방향이 조금씩 다르지만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며 “습한 동남아에서 음식에 향신료를 많이 넣어 먹는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향신료는 식중독 균을 억제해 음식이 상하는 것도 방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동안 자극적인 맛에 향신료를 멀리해왔는데 오늘은 가족의 여름나기를 위해 콩나물국에 후추를 팍팍 넣고 끓여봐야겠습니다.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