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 분식회계 교묘하게 쉴드치는 중앙일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 회계 의혹에 대해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고의적 분식 회계”라는 최고 수위의 판단을 내렸습니다. 한국거래소는 11월 14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대상에 해당한다며 주식 거래를 정지시켰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 회계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대다수 언론이 앞다퉈 이 사건을 보도했습니다. 그중 가장 인상적인 보도는 중앙일보였습니다.
▲ 11월 15일 조선, 중앙, 동아일보 1면. 중앙일보는 분식회계, 삼성바이오로직스라는 단어를 제목에서 사용하지 않았다. |
11월 15일 자 조선·중앙·동아일보의 1면입니다. 조선일보의 헤드라인은 ‘삼성바이오 22조 주식 거래정지’라고 돼 있지만, 그 이유는 제목에 나와 있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동아일보는 ‘삼성바이오, 고의분식회계 주식거래 정지’라는 제목으로 고의적인 분식회계임을 명시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어떨까요? 중앙일보 1면 기사는 ‘분식회계’, ‘삼성바이오로직스’ 같은 단어를 피하고 ‘삼바 주식거래정지… 피 마르는 22조’라며 주식거래 정지의 규모만 강조했습니다.
특히, 중앙일보는 제목에 ‘22조’를 표기함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업 가치만을 내세웠습니다. 그 덕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고의적인 범법 행위는 상대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 11월 15일 네이버 뉴스스탠드 중앙일보. 분식 회계와 삼성바이오로직스라는 말 대신 삼바라는 용어와 20조를 제목에 내세웠다. ⓒ네이버 뉴스스탠드 화면 캡처 |
그뿐 아닙니다. 중앙일보는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도 분식회계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대신에 ‘삼바 거래정지 최장1년 간다 … 20조 묶인 개인·기관 대혼돈’이라는 제목으로 주식거래 정지만 강조했습니다. 뉴스스탠드는 네이버가 아닌 중앙일보가 직접 편집합니다.
주식시장 악재라며 삼성 옹호하는 중앙일보
▲ 11월 15일 중앙일보 3면. 분식회계라는 말 대신에 증시 악재, 충격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사용했다. ⓒ중앙일보 PDF |
중앙일보가 네이버에 송고했던 기사의 지면 제목은 ‘주가 33만 4500원서 스톱… 증시 초대형 악재에 충격’입니다. 비록 20조라는 숫자는 빠졌지만, 주가를 내세우며 악재, 충격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11월 15일자 3면에 나왔던 이 기사 아래에는 ‘삼성바이오 “금감원도 전문가들도 문제없다 결론냈는데, 증선위가 뒤집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제목만 보면 증권선물위원회가 의도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거래를 정지시켰다는 느낌이 듭니다.
중앙일보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대신에 주식시장을 강조하는 것은 일종의 공포 마케팅이 아닐까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흔들리면 경제가 혼란에 빠지고 주식시장이 마비된다는.
특히, 중앙일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 회계가 이재용 삼성부회장의 승계작업과 연관돼 있음에도 ‘다시 주목받는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이라며 이재용 부회장의 이름은 제목에서 제외합니다.
기사 본문에는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전자 경영 승계 내용을 담았음에도 제목에는 이재용 부회장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이건희-홍석현이 공동 소유인 중앙일보
▲ 이병철 회장이 중앙일보 윤전기를 시찰하고 있다. 이병철 회장(사진 오른쪽), 홍진기 전 중앙일보 회장(사진 왼쪽), 이건희 회장(이병철 회장 뒤), 이재용 사장(사진 가운데) ⓒ삼성그룹 |
중앙일보가 삼성을 옹호한다는 지적은 전부터 많았습니다. 실제로도 그런 경향이 확인된 적도 많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세간이 자주 지적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중앙일보가 원래 삼성 오너 일가의 회사였기 때문입니다.
1965년 삼성 이병철 회장은 중앙일보를 창간합니다. 이병철 회장은 중앙일보 창간 이전에 직접 일본 아사히, 마이니치, 요미우리 신문사 등을 직접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중앙일보 창간 당시 이병철 회장이 대표이사직을, 홍진기는 부사장을 맡습니다. 일제강점기 시절 판사였던 홍진기 부사장은 친일행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4.19 혁명 당시엔 발포 명령을 내려 사형선고를 받은 인물이기도 합니다. 이후 이병철 회장의 도움을 받아 박정희의 특사로 살아남았습니다.
홍진기는 이병철 회장의 후원으로 중앙라디오방송 사장으로 취임했고 이후 중앙일보 창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병철 회장은 이건희를 홍진기의 장녀 홍라희와 결혼시킴으로 혼맥으로 관계를 유지합니다.
▲ 중앙일보 대주주 변동 현황 ⓒ미디어오늘 |
삼성 이건희 회장은 1970년대 초반부터 중앙일보 경영에 참여했습니다. 이 회장의 아내 홍라희는 1980년 초반까지 중앙일보 편집국과 문화부 등에서 활동했습니다.
홍라희의 동생 홍석현이 중앙일보 경영에 참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이건희 회장이 중앙일보 지분을 넘겨줬기 때문입니다.
1996년 중앙일보는 30억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합니다. 당시 최대 주주였던 이건희 회장은 청약을 포기했고 홍석현은 돈이 없는데도 중앙일보 지분을 모두 사들여 최대 주주가 됩니다.
2016년 중앙일보의 최대주주는 중앙미디어네트워크입니다. 그런데 중앙일보미디어네트워크에 대한 지분 정보는 공개돼 있지 않습니다.
김춘효 자유언론실천재단 기획편집위원은 ‘삼성미디어 제국 징검다리는 중앙일보’라는 기사를 통해 “2018년 이 회사(중앙일보)는 이건희-홍석현이 복합 미디어 기업으로 공동 소유 운영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독 삼성 오너 일가에 우호적인 기사를 쏟아내는 중앙일보를 보면 어떨 때는 언론인지 삼성 홍보실인지 착각에 빠집니다. 기분 탓일까요?
직썰 필진 아이엠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