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든’을 제대로 발음한다면
외래어 표기를 할 때 현지음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언어마다 음운, 조음 체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자기 언어의 발음 체계가 허용하는 한에서 표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외국의 고유명사 발음과 표기는 발음 체계만 고려되는 것은 아닙니다. 자국의 역사적 문화적 이유와 관행도 관여합니다. 한국인은 UK를 영국이라 부르고, USA를 미국이라 부릅니다. 영어권 사람들은 프랑스의 파리를 패리스라 부르고,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는 베니스라 부르지요. 우리가 ‘에베레스트’라고 부르는 산의 이름은 원래 이름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Hoegaarden을 ‘호가든’이라고 부른다 해서 문제될 게 없다는 의견도 있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회사 이름이나 상품명은 실제 발음이나 외래어 표기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이네켄(표기법상으로는 헤이네컨), 폭스바겐(폴크스바겐), 맥도날드(맥도널드), 구찌(구치), 토요타(도요타)처럼 그 예는 아주 많지요. 고유명사처럼 쓰이는 상표·상호 해당 회사가 등록한 이름을 그대로 인정합니다. 그렇지만, 그 이름들은 실재 인물이나 지역 이름에서 가져온 것들이 많지요. 각 회사가 기존 쓰임과 다르게 등록한 이름들로 인해 혼란이 생겨납니다. 회사에서 이러한 문제를 고민하고 검토한 후에 결정한 것인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