찹쌀떡ㆍ메밀묵, 어떻게 겨울 야식 커플이 됐나
[리얼푸드=민상식 기자] “촛불을 끄니 하얀 달빛이 창을 통해서 방을 비춘다. ‘메밀묵 사려!’ 하는 소리가 멀리서 들리더니 점점 크게 들려온다.”
신문에 실린 문학의 한 구절입니다. 과거에는 야식 장수들이 메밀묵, 찹쌀떡을 어깨에 메고 골목골목을 다니며 소리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1976년 1월 24일자 경향신문 칼럼에는 “골목 밖을 지나는 찹쌀떡과 메밀묵 장수의 구성진 목소리는 한국 겨울밤에 또하나 빼놓을수 없는 인간의 목소리다”라는 내용이 실리기도 했습니다.
![]() |
최근에는 이런 야식 장수를 보기 어려워졌지만, 메밀묵과 찹쌀떡은 전통적으로 겨울 대표 야식으로 통했습니다.
주 재료인 메밀과 찹쌀이 겨울이 제철이었고, 특히 찹쌀떡과 메밀묵은 소화가 잘되고 포만감을 줘 겨울밤 간식으로 적당했기 때문입니다.
수분 비율이 85∼90%에 달하는 메밀묵은 열량이 100g당 50∼60㎉ 정도입니다. 찹쌀떡 1개의 열량도 50~70㎉ 정도로, 메밀묵과 찹쌀떡을 함께 먹어도 소화 부담이 크지 않습니다.
두 음식이 어떻게 ‘찰떡 커플’이 됐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전문가들의 추측에 따르면 찹쌀떡이 목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물기 많은 메밀묵이 함께 먹기에 맞았다는 것입니다. 또 찹쌀떡의 더운 성질과 메밀묵의 찬 성질이 궁합이 맞았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 |
메밀에는 곡류에 적게 들어있는 단백질이 12~15% 들어 있으며,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도 5~7% 함유돼 있습니다. 비타민 B1, B2도 풍부해 피로감은 덜고 피부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 메밀의 대표 영양성분으로 알려진 루틴(rutin)은 혈관의 저항력을 높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 좋습니다. 특히 메밀에는 글루텐이 없어 밀가루 음식 소화에 애를 먹는 사람들에게 좋은 식재료입니다.
찹쌀은 아밀로펙틴으로만 이뤄져 있어 소화가 잘 됩니다. 식이섬유도 많이 들어있어 변비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mss@heraldcorp.com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