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美, 육류 및 유제품 업체, 기후위기 압력 커졌다

[리얼푸드=육성연 기자] 미국의 육류 및 유제품 업체들이 이전보다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전했다.


미국 체인징 마켓 파운데이션(Changing Markets Foundation)의 조사결과, 약 84%의 투자자가 육류 및 유제품 회사가 기후위기에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주요 사업이 기후 변화에 위협받을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답했다.

美, 육류 및 유제품 업체, 기후위기 압력 커졌다

대부분의 육류 가공회사들은 온실 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가지면서도 육류 가공시 발생되는 메탄 제거에 대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이번 체인징 마켓 파운데이션 조사에 참여한 투자자들 중 72%는 기업이 메탄과 탄소 배출량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투자 그룹 페어(FAIRR)은 지난해 주요 육류 및 유제품 업체 60곳 중 18% 만이 메탄 배출량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기후학자들은 기온이 섭씨 2도 상승할 경우 오는 2050년 까지 미국 내 가축 수가 7~10%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25배 더 강한 온실효과를 일으킨다. 메탄은 특히 소를 원료로 사용하는 육류 가공업에서 많은 양이 배출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소에서 나오는 메탄 배출량이 가축 전체에서 발생되는 메탄 배출량의 39%를 차지하고 있다.


환경 단체들 역시 환경보호를 위해 기업들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해 왔다. 비영리 단체인 세레스(Ceres)는 지난 2021년 보고서에서 주요 육류 가공업자들이 물 사용량 감소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육류와 유제품 소비가 전 세계 총 물 발자국(원료를 취득하여 제품을 생산, 유통하고 소비자가 사용 및 폐기하는 전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총량)의 27%를 차지하기 때문에 해당 기업들이 물 사용량 감소를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강조했다.


gorgeous@heraldcorp.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