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기억력, 사고력 지키려면…“채소 과일이 답”
[리얼푸드=박준규 기자] 사람 이름이 기억이 안 나고, 길눈이 어두워진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인지능력이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젊은 시절의 맑은 인지능력을 오래 유지하는 건 모두의 관심사인데요. ‘식습관’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미국 하버드대학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지난달 말 발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채소를 많이 먹은 남성은 나이가 들어도 기억력 감퇴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이번 연구는 20년이 넘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됐습니다. 지난 1986년 평균 연령이 51세인 남성 2만7842명을 추렸고 이후 20년간 식습관을 추적했습니다. 이들은 설문지에 과일과 채소를 비롯한 음식을 하루에 얼마나 먹는지 기록했습니다. ‘과일 한 컵’ 혹은 ‘녹색잎 채소 두 컵’ 같이 구체적인 양을 적었죠.
실험 참가자들의 평균 연령이 73세가 된 2008년부터 인지능력을 주관적으로 측정하는 테스트를 받았습니다. 이 테스트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기억력에 변화가 생겼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테스트의 질문은 이런 식이었습니다. ‘당신은 쇼핑 리스트 같은 짧은 물건의 목록을 기억하는 게 전보다 어렵습니까?’, ‘사람들의 대화 내용을 따라잡는 게 전보다 어렵습니까?’. 이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사고력과 기억력이 우수한 그룹은 전체의 약 55%였고 38%는 평범, 7%는 나쁜 수준이었습니다.
한편 참가자들 각자가 섭취한 과일과 채소의 양도 천차만별이었습니다. 채소를 가장 가까이한 참가자 그룹은 하루에 평균 6인분을 섭취했고 상대적으로 적게 먹은 그룹은 하루에 약 2인분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과일의 경우 매일 평균 3인분을 먹은 그룹이 있는가 하면, 1인분도 채 안 되는 양만 섭취한 그룹도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인지 테스트 결과와 과일ㆍ채소 섭취량 사이의 관계를 살폈습니다. 그 결과 채소를 가장 많이 먹는 그룹의 남성들의 사고력이 저하할 가능성은 채소를 가장 적게 먹는 이들보다 34% 적었습니다. 더불어 오렌지 주스를 매일 마신 남성들의 사고력이 저하할 가능성은 한달에 1번 정도만 주스를 마신 이들보다 47% 가량 낮았습니다. 나이가 많은 남성일수록 이런 경향은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연구를 이끈 창쩡 위안(Changzheng Yuan) 박사는 “뭘 골라 먹느냐가 두뇌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증거를 이번 연구가 제시한다”고 말했습니다.
nyang@heraldcorp.com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