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망의 직업하면 자연스럽게 ‘사’자 직업을 떠올리게 됩니다. 의사, 변호사, 판검사 등 엄청난 양의 지식을 오랜 시간 습득한 만큼 높은 소득이 보장되어 있죠. 사회적 지위 역시 높아 자녀를 ‘사’자 직업으로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약사 역시 이러한 사자 직업 중 하나로, 다른 전문직에 비해 근무 환경이 잘 갖춰져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약대 진학을 한 학생들 역시 이 점을 약사의 장점으로 꼽고 있죠. 그렇다면 과연 약사는 소문처럼 편한 직업이 맞을까요? 약사의 현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총 6년의 시간을 대학에서 보내야 합니다. 과거에는 수능을 통해 약학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지만, 기초 교육의 필요성과 진로 선택의 기회 확대 등을 이유로 2+4년 제로 개편되었습니다. 약대가 아닌 다른 학과에서 2년 이상의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인 PEET를 통과해 약학 대학에 편입할 수 있죠. 그러나 2022년부터 통합 6년 제가 도입되면서 수능으로 약학 대학에 진학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공부를 마치면 약사 국가 고시를 치른 후 약사로 활동할 수 있게 되죠.
공부량은 두말할 것 없습니다. 2년 동안 필수 교과목을 모두 이수하고, PEET 시험을 준비해야 하죠. PEET 시험의 경우 전문직 선호도 증가로 인해 경쟁률도 매우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시행된 PEET 시험 결과, 실질 경쟁률은 8.5 대 1 정도였죠.
약대생들은 편입보다 준비 과정이 더 힘들 정도라고 한탄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힘겹게 약학 대학에 입학하게 되면 다시 한번 고생 기길이 시작되는데요. 일반 학부와 달리 모두 전공 공부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난이도가 더 높은 편이죠. 책 한 권이 시험 범위가 되는 건 일상입니다.
이렇게 약사 면허증을 따게 되면 어떤 분야로 진출할 수 있을까요? 대부분이 일반 약국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약사는 환자가 병원에서 처방 받은 처방전을 토대로 약을 제조하죠. 또한 약사는 의사가 제대로 된 처방을 내렸는지 확인도 해야 합니다. 병원을 거치치 않고 온 환자들에게 일반 약을 상담해주기도 하죠.
병원 약사로도 일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이용하는 약 전체를 관리하기 때문에 약국 약사보다는 일이 고된 편입니다. 제약 회사에 취업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영업, 마케팅, 임상 허가 등 맡을 수 있는 파트가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죠. 이외에도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의 공공 기관에 입사할 수도 있습니다.
약사는 초봉이 꽤 높은 편에 속합니다. 약국 약사는 5,000~6,000만 원 정도, 병원 약사는 4,500만 원~5,000만 원 정도입니다. 병원 약사는 정년이 보장되어 있고, 퇴직 시 사학 연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업무 강도가 높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제약 회사는 역시 일반 기업보다는 초봉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그러나 하나의 회사이다 보니 조직 생활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는데요. 초반엔 뜻하지 않은 제약 영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제약 업무는 영업 업무 중에서도 특히 힘든 편에 속합니다.
겉으로는 소득도 높고, 근무 환경도 좋아 보일지라도 현직자가 아니라면 느끼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약사 또한 마찬가지인데요. 소위 말하는 ‘사’자 직업이라도 다른 직업처럼 명암이 있을 수 밖에 없죠. 그러니 직업을 선택할 때 많은 경우의 수를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