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3분의 1 확률 아니었다..'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조금이라도 승리 확률 높일 수 있는 '비밀 전략'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확률, 단순히 1/3이 아닙니다. 수학자가 밝힌 전략에 따르면 패배 후 사람들이 내는 손에 일정한 패턴이 있다는 사실! 이걸 기억하면, 승률은 달라집니다.
중국 저장대 수학자, 가위바위보 '필승 전략' 공개
![]() ⓒ게티이미지뱅크(가위바위보) |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있을까?
많은 사람들은 순서나 벌칙 등을 정할 때 가위바위보로 정하고 있다. 가위바위보는 2인 이상의 사람이 동시에 가위, 바위, 보를 외치고 각기 특정한 모양의 손을 내밀어 승부를 결정짓는 게임으로, 이길 확률과 질 확률, 그리고 비길 확률이 모두 3분의 1로 공평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가위바위보에서 이길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존재했다.
가위바위보 게임, 이렇게 하면 이길 수 있다!
![]() ⓒ게티이미지뱅크(가위바위보) |
과거 중국 저장대의 수학자인 왕즈지엔 교수는 가위바위보에 대해 연구하고 이길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 72명을 12명씩 6개의 팀으로 나눈 뒤, 각각 가위바위보를 300번씩 하도록 했다. 실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참가자들은 이긴 횟수에 따라 승리 수당을 부여 받았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낸 가위, 바위, 보의 빈도는 거의 3분의 1로 비슷했다. 연구팀은 이를 보고 가위바위보 전략에도 '내쉬균형'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내쉬균형이란, 상대방의 전략을 보고 자신에게 최적인 전략을 선택할 때 그 결과가 균형을 이루는 전략의 집합을 뜻한다.
![]() ⓒ게티이미지뱅크(가위바위보) |
그런데 연구팀은 더욱 흥미로운 결과를 발견했다. 가위바위보에서 이겼던 사람은 다음 차례에 자신이 냈던 패를 유지했지만, 진 사람은 다음 차례에 자신이 냈던 패를 내지 않는 경향이 있었던 것이다.
심지어 바위, 보, 가위를 내서 진 사람은 다음 차례에 각각 보, 가위, 바위를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통해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이길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참가자들이 패를 무작위로 낸 것처럼 보이지만, 뇌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이미 체계화되어 조건반사적인 반응으로 나타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 ⓒ게티이미지뱅크(가위바위보) |
누리꾼들 반응은? "너무 놀랍다"
한편, 내용을 접한 누리꾼들은 가위바위보 게임의 승리 전략에 큰 관심을 드러냈다. 이들은 "이걸 이제야 알았다니", "가위바위보도 나름의 규칙이 있었군요", "그래도 아무 생각 없이 가위바위보를 할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냈다.
김지선 기자 jiseon776@newskrw.com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