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22년만에 폐지위기 맞은 여성가족부, 문재인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윤석열, ‘여가부 폐지’ 공약으로 내세워
문재인 대통령 “여가부 업무 매우 중요”
![]() 출처: 국민의힘 / 연합뉴스 |
![]() 출처: 국민의힘 |
지난 2008년 폐지 위기를 한 차례 맞았던 ‘여성가족부’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며 또다시 존폐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윤 당선인은 1월 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여성가족부 폐지’가 적힌 글을 게시한 이후, 여러 차례 이를 공약으로 외쳐온 바 있다. 실제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가 발표한 정책공약집에도 명시된 사항이다.
![]() 출처: 윤 당선인 페이스북 |
그는 후보시절 내내 “여성은 불평등한 취급을 받고 남성은 우월적 대우를 받는다는 건 옛날 얘기”라는 말과 함께 여가부 폐지에 대한 굳건한 입장을 밝혀왔다.
논란이 일었을 때도 “더이상 남녀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아동, 가족, 인구감소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룰 부처의 신설을 추진하겠다”며 공약을 구체화한 바 있다.
위기를 모면해 폐지가 되지 않더라도, 전면적인 조직개편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 출처: 연합뉴스 |
반면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을 하루 앞두었던 지난 8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차기 정부가 여성가족부에 대해 새로운 구상을 할 수는 있지만, 여가부의 업무 하나하나는 매우 중요하고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여가부에 대한 오해가 커졌다”며 “(여가부는) 결코 여성만을 위한 부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오히려 양성평등 관련 예산은 7% 남짓으로 매우 적고, 가족정책에 62%, 청소년 정책에 19%, 권익증진에 9%”라며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덧붙였다.
여가부 폐지 공약이 공론화된 이후, 이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 출처: 여성가족부 / 연합뉴스 |
한편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여가부 폐지’와 ‘성범죄 무고죄 처벌 강화’ 공약 폐기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그들은 두 공약에 대해 “구조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에서 기인할 뿐 아니라 여성과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강화하고 용인하는 위험한 정책”이라 표현하며, ‘여가부 기능 더욱 강화’, ‘모든 부처에 성평등 정책 담당 부서 설치’, ‘실질적 권한 가진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를 설치’를 요구했다.
![]() 출처: 한국여성단체연합 |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그렇게 중요한 부서였으면 똑바로 운영했어야지”, “그저 남성표를 얻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등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