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칫솔 사, 자고 가게" 선방…'옹벤져스' 아줌마와 다른 이 누나
[민경원의 심스틸러]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변호사 홍자영
옹산 최고 엘리트로 반전 매력 선보여
“아줌마 연기도 색깔 달라” 차별 꾀해
연극서 봉준호·노희경 눈에 띈 베테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누나 동기 새끼들은 다 판검사인데 굳이 왜 나랑 결혼을 해?”
“난 너랑 있으면 편해. 넌 사람이 행간이 없잖아.”
21일 KBS2 수목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마지막 회에서 학창시절 공부 빼고 다 하고 다닌 안경사 노규태(오정세)와 공부만 열심히 해서 변호사가 된 홍자영(염혜란) 부부가 결혼 전 나눈 대화다. 20부작의 대장정을 마무리 짓는 회차인 만큼 ‘까불이’ 흥식이(이규성)를 비롯해 옹산을 휘젓고 다닌 인물들의 전사가 차례로 드러났지만 이들의 이야기가 가장 마음에 와 닿았다. 통상 주인공의 해피엔딩을 위해 달려가기 바쁜 드라마들과 달리 ‘사짜 부부’가 쌓아온 세월이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도록 도와준 덕분이다.
시청률 23.8%를 기록한 이날 방송에서 홍자영의 ‘누나미’도 폭발했다. 입시학원에서 만난 노규태를 기억하고 맞선에 나온 그는 “네 차 탈 거야? 내 차 타”라며 첫 만남을 리드한 데 이어 칼국수 먹자고 대부도에 가서는 “너 칫솔 사. 자고 가게” “3월에 하자, 우리 결혼” 등 3연타를 날렸다. 마음의 준비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훅훅 치고 들어온 ‘선방’에 무너져 내린 노규태처럼 시청자들도 눈을 비비며 그를 다시 봤다. 이 누나가 멋진 건 진작에 알아 봤지만, 이 정도로 매력이 차고 넘칠 줄은 미처 몰랐던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같은 아줌마라 해도 옹산 게장 골목을 꽉 잡고 있는 ‘옹벤져스’와는 또 다른 얼굴을 지녔다. 파마머리에 몸빼바지를 입은 시장 아주머니들 사이에서 혼자 숏커트에 바지정장 차림이어서가 아니다. 주인공 동백이(공효진)부터 동백이 엄마 조정숙(이정은), 용식이 엄마 곽덕순(고두심) 등 모성애가 무엇보다 중요한 드라마에서 아이가 없다는 것은 그녀가 보여줘야 할 덕목이 다르단 얘기다. 그래선지 그는 관계 맺기에는 서툴지만 의외의 순간에 속마음을 드러내며 마음을 산다. 이를테면 동백이가 남편의 불륜 상대가 아니라는 것을 아는 순간 “법적 지원 필요하면 연락하라”며 명함을 건네는 것처럼 말이다.
돌이켜 보면 배우 염혜란(43)이 그간 맡아온 캐릭터도 그랬다. 1999년 극단 연우무대에 입단하면서부터 “다른 여배우들은 모두 예쁘고 날씬해서 혼자 아줌마 역할을 도맡아 왔다”고 했지만, 그는 전형성에 기대지 않았다. ‘도깨비’(2016~2017)에서 은탁이 이모나 ‘슬기로운 감빵생활’(2017~2018)의 해룡이 엄마처럼 다른 엄마들과는 다른 ‘한 끗’을 만들어냈다. 애초에 모성애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비뚤어진 인물이었지만 누군가의 이모나 엄마보다는 그 역할이 지닌 고유한 성격을 보여줌으로써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 것이다. 과거 인터뷰에서 “빨간색과 다홍색이 다른 것처럼 아줌마 연기에도 차별성을 두고 싶다”고 말한 것을 몸소 실천한 셈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는 그를 향한 러브콜이 끊임없이 이어지게 만든 이유기도 하다. 연극 ‘이’에서 광대 역할을 맡은 염혜란을 본 봉준호 감독이 오디션을 제안하면서 ‘살인의 추억’(2003)으로 스크린에 진출하게 된 그는 드라마 데뷔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나문희와 호흡을 맞춘 연극 ‘잘자요 엄마’를 본 노희경 작가가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2016)에서도 딸 선영 역을 추천한 것. 영화 ‘밀양’(2007) 오디션 영상을 눈여겨본 조감독의 추천으로 진주댁에 캐스팅된 ‘아이 캔 스피크’(2017) 등 눈 밝은 제작진은 그를 다양한 매체로 불러냈고, 극 중 나문희와 모녀지간에서 절친이 된 그는 뻔하지 않은 연기로 보답했다.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덕분에 그가 맡을 수 있는 역할의 스펙트럼도 넓어지고 있다. 2년 전까지만 해도 “‘사’자 들어가는 직업은 해본 적이 없다”고 했지만 올해는 ‘동백꽃’에서 이혼전문변호사로 이름을 날렸고, 작년엔 ‘라이프’와 ‘무법 변호사’에서 각각 대학병원 비서실장과 지방 소도시 비선 실세로 활약했다. 작품마다 제법 결이 달라서 “같은 배우인지 못 알아봤다”는 반응이 계속됐다. 섭섭할 법도 한데 그는 그 말을 “가장 듣고 싶은 칭찬”으로 꼽았다. 상투적 역할에서 벗어나고자 덧붙인 한 끗의 다름이 모여 제법 다른 얼굴을 빚어냈음을 방증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가 맡은 역할의 비중이 커질수록 그가 만들어내는 변화 역시 더 커질 수 있지 않을까.
그가 한때 꿈많은 문학소녀였다는 사실도 생활밀착형 배우로서 지닌 강점이다. 시장 인근에서 장사하던 집에서 태어나 학창시절 국어교사를 꿈꾸며 서울여대 국문과에 입학한 그는 대학 시절엔 방송국 PD를 꿈꾸며 방송반에 들어갔다가 실망해 연극반 동아리 활동을 시작했다고 했다. 졸업 후 입사한 출판사까지 합하면 꽤 다양한 직업군을 체험한 셈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어떤 얼굴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지 안다는 얘기다. 그래서인지 그의 지난 인터뷰에는 하나같이 적잖은 행간이 느껴졌다. 단어 하나 허투루 말하지 않는 신중함과 삶에 뿌리내리고 있는 사람만이 지닐 수 있는 단단함 같은. 그가 보여줄 또 다른 얼굴이 궁금하다.
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