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인자 죽어도 여한이 없다"...尹연하장에 등장한 손글씨체 정체

중앙일보

권안자 할머니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경북 칠곡군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의 연하장. 연하장 맨 아래에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했다고 쓰여 있다. 사진 경북 칠곡군

한글을 막 깨친 시골 할머니 5명의 손글씨로 만든 '칠곡할매글꼴'이 윤석열 대통령 연하장에 등장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취임 후 첫 새해를 맞아 각계 원로, 주요 인사, 국가유공자 등에게 신년 연하장을 발송했다. 윤 대통령은 이 연하장 글씨체를 칠곡할매글꼴로 사용하며 '위 서체는 76세 늦은 나이에 경북 칠곡군 한글 교실에서 글씨를 배우신 권안자 어르신의 서체로 제작되었습니다'라고 썼다.


어린이가 쓴 듯한 칠곡할매글꼴은 권안자(79)·김영분(77)·이원순(86)·이종희(81)·추유을(89) 할머니 등 5명의 글씨체다. 자신의 손글씨체가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됐다는 소식을 접한 권안자 할머니는 “인자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전했다.

검찰총장 때도 사용한 칠곡할매글꼴

윤 대통령은 칠곡할매 글씨체에 관심이 많다. 2년 전 검찰총장 재직 때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했다. 당시 그는 “칠곡군 문해교실에서 한글을 배운 어르신 사연을 듣고 SNS에 사용하게 된 것"이라며 "어르신들 손글씨가 문화유산이 된 것과 한글의 소중함을 함께 기리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칠곡할매 5명이 손글씨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2020년 12월에 촬영했다. 사진 경북 칠곡군

2020년 처음 나온 칠곡할매글꼴

칠곡할매글꼴은 칠곡군이 지역 어르신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성인문해교실’을 통해 탄생했다. 뒤늦게 한글을 배우고 깨친 할머니 글씨를 보존하기 위해 2020년 12월쯤 세상에 나왔다. 칠곡군은 당시 성인문해교실에서 공부한 할머니 글씨 400개 중 이들 5명의 글씨체를 뽑았다. 이렇게 뽑힌 할머니들은 칠곡할매글꼴을 만들기 위해 4개월간 각각 2000여장에 이르는 종이에 글씨를 써가며 연습했다. 어르신들이 하기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유독 할머니들을 힘들게 한 건 영어와 특수문자였다. 이때 손주들이 지원군으로 나섰다. 손주들이 옆에서 할머니 서체 만들기를 도왔다고 한다.

중앙일보

한컴오피스에 탑재된 칠곡할매글꼴. 사진 경북 칠곡군, 한컴오피스 캡쳐

칠곡군은 어르신들이 작성한 종이를 다 모아서 글꼴을 만드는 업체에 맡겼고 그 결과 칠곡할매글꼴이 완성됐다. 유명인이나 역사적인 인물이 아닌 시골에 사는 할머니 손글씨가 서체로 만들어진 첫 사례였다.

문화유산, 국립한글박물관에 영구보존

한글사랑 운동을 펼쳐온 방송인 출신 역사학자 정재환 교수와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 최홍식 전 연세대 명예교수가 칠곡할매글꼴 홍보에 나섰다. 경주 황리단길에는 칠곡할매글꼴로 제작한 대형 글판이 내걸리고 한컴오피스와 MS오피스 프로그램에 칠곡할매글꼴이 정식 탑재됐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칠곡할매글꼴을 휴대용저장장치(USB)에 담아 유물로 영구 보존했다.

중앙일보

칠곡군 여러곳에 붙어 있는 각종 현수막. 시쓰는 칠곡할매 5명의 손글씨로 만든 칠곡할매글꼴로 제작돼 눈길을 끈다. 사진 경북 칠곡군

시 쓰는 할매들

김재욱 칠곡군수는 “칠곡할매글꼴은 정규 한글 교육을 받지 못한 마지막 세대의 문화유산으로, 한글이 걸어온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새 역사를 쓴 것”이라고 말했다.


칠곡할매들은 시 쓰는 할매로도 유명하다. 한글을 배우는 한 과정으로 시를 쓰면서다. 할매들은 이런 시들을 쓴다. ‘나는 백수라요/묵고 노는 백수/콩이나 쪼매 심고/놀지머/그래도 좋다.’ -이분수 할머니의 ‘나는 백수라요’ (2016년 10월 2집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수록)


시 쓰는 칠곡할매들은 다큐멘터리 영화 ‘칠곡 가시나들’로도 소개됐다.


칠곡=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오늘의 실시간
BEST
joongang
채널명
중앙일보
소개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