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오래] 상추·오이와 도란도란 대화, 도시에선 모르는 즐거움
더오래
━
[더,오래] 송미옥의 살다보면(140)
밤색이던 나무에 초록색 옷을 입혀준 5월도 어느새 절반이 넘어가고 있다. 고양이도 한 몫 거든다는 농번기다. 신기술 농법으로 사계절 바쁜 곳도 있지만, 보편적으로 싹을 틔우고 모종, 모판을 옮겨 심는 기간이 지금이다.
내 텃밭에도 이것저것 심었다. 낯선 곳으로 옮겨져 움츠려 있던 모종이 비가 온 뒤 땅심을 받아 꼿꼿한 자태를 보여준다. 뿌려놓은 씨앗도 삐죽삐죽 올라온다. 한 알의 씨앗이 땅에 품어져 땅을 가르며 솟아나는 걸 보노라면 경외심이 든다. 그들 사이로 ‘나도 꽃’이라 아우성치며 자라는 많은 풀…. 그들도 살아남으려 용을 쓰지만 인간의 잣대로 잡초로 분류되어 바로 제거당한다.
색색 선명한 봄꽃이 눈을 호사시키며 농번기를 알린다. 평생을 업으로 한 사람도 해마다 농사를 시작할 땐 두렵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더 힘들다. 일손을 못 구해 애태우는 부모님을 위해 자식들이 와서 거드는 모습이 보인다. 오죽하면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5월 5일은 무슨 날인가?’ 하니 시골 학생들은 ‘고추 심는 날’이라고 했을까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가 오면 비가 와서 바쁘고, 안 오면 안 와서 바쁜 지금이라, 쉬는 날엔 산책하러 나갈까 말까도 늘 망설인다. 70~90대 어르신들이 기역자 허리를 하고 일하시니 처음엔 안타까운 마음에 도와준답시고 함께했다가 반나절 거들고도 며칠을 끙끙거렸다. 안 하던 일을 함부로 덤비면 정말 힘들다. 다음부터는 요령이 생겨서 쉬는 날엔 적당한 시간에 간식거리를 들고 가서 아주 조금만 거들다가 약속이 있다며 뺑소니친다. 속된말로 밉살스러워도 모른 체하고 외면하며 다니는 것보다 낫다. 왕따를 안 시킨다. 늘 마주치는 이웃과 적당한 거리에서 인사하며 어울리는 방법이기도 하다.
농촌 사람들은 술을 많이 마신다. 몸으로 부딪치며 하는 노동일이라 엄청 피곤하다. 다음날을 위해 억지로라도 잠을 청하려면 술에 취해 자는 수밖에 없다. 옛날엔 백 평을 농사지으면 이웃과 나누고도 남았다 한다. 요즘 농사를 전업으로 하려면 기계화가 되어 최하 단위가 천 평이다. 그나마 논농사는 모든 공정을 거의 기계로 하니 더 넓다. 입농사라고도 한다. (말만 하면 기계가 다 하니까)
그래도 농사는 하늘이 반을 도와야 성공할 수 있다. 하늘 한잔 올리고 내 한잔 마시고, 땅 한잔 올리고 내 한잔 마시고. 모여서 술을 마셔야 할 핑계도 많다. 시대가 바뀐 요즘도 백 평이면 자급자족한다. 자발적 가난을 선택하면 느긋하고 풍요롭기도 할 것 같다. 정부에서 인정하는 자농업의 각종 혜택은 삼백평부터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작은도서관 관리실장 theore_creator@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