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오래]코로나19 변종 생기면 백신이 무용지물 된다고?
[더,오래] 이태호의 잘 먹고 잘살기(81)
━
[더,오래] 이태호의 잘 먹고 잘살기(81)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국과 중남미에서 급격히 확산 중인 코로나바이러스는 중국 우한 바이러스의 변종이며 전염성이 최대 6배에 달한다”고 했다. 요지는, 검사한 샘플의 약 30%가 바이러스의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에 변이가 생겨 그렇다는 내용이다. 꽤 유명한 국제학술지에 실린 거라 사실에 가깝다는 생각이다. 혹여 이 변종이 국내에 유입될까 봐 걱정이다. 아니 이미 유입됐다는 주장도 있다. 그래도 치명률은 변하지 않는 것 같다니 다행이다.
이에 덧붙여 문제시한 것은 “스파이크의 구조가 변화했으니 백신 개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한 대목이다. 이를테면 신종이 창궐하면 지금 개발 중인 백신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고 한 것.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 근거를 따져보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백신은 코로나에 있는 단백질 등의 항원물질을 가지고 만든다. 후보물질은 단백질, 인지질, 탄수화물, 핵산(DNA, RNA) 등이다. 백신은 바이러스로부터 이들 물질만을 분리하여 만들 수도 있고, 바이러스를 약독화하거나 죽여 껍질만으로도 만들 수 있다. 어느 게 좋은지는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거쳐 결정한다. 가장 항체를 잘 만들어 주는 항원을 ‘항원성’이 강하다고 얘기한다.
그럼 문제의 스파이크단백질을 들여다보자. (그림1)은 코로나의 스파이크가 숙주의 ACE2에 결합해 내부로 침입하는 모식도다. WHO의 주장은 이 스파이크에 변이가 생겨 ACE2에 결합력이 증가해 감염력이 높아졌다는 주장이었다. 그럴 수는 있다. 그러나 ‘기존 코로나로 만든 백신이 변종 바이러스에는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라는 주장하고는 얘기가 다르다. 감염력의 증가는 보통 스파이크 속 수백개의 아미노산 중 극히 일부(1~2개)가 바뀌어 일어난다. 그러나 이런 정도의 변이에 백신 개발을 우려한다는 것은 ‘너무 지나친 걱정이다’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림1. ACE2에 코로나의 스파이크가 결합. ACE2는 심장, 폐, 콩팥, 위 등에 분포하며 심장기능과 혈압에 관여하는 효소단백질이다. [자료 이태호] |
그림2. 하나의 항원단백질에 3종류의 epitope가 있고 각기 다른 특이항체가 결합했다. |
그림3. 코로나에 항원이 될 수 있는 단백질. |
부산대 명예교수 theore_creator@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