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 OS에서 화웨이 OS까지, 운영 체제의 애국 마케팅
![]() |
손발이 묶인 화웨이는 자국 내수용으로 준비해 운영체제를 Ark OS라고 유럽 등지에 급히 상표 등록하며 확장하려 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자체는 오픈소스이다 보니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운영체제를 하나 뚝딱 만들어낼 수 있음은 샤오미 등이 이미 보여준 바 있다.
OS를 새로 만드는 일은 어려운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빌게이츠나 리누스 토발즈의 위인전을 읽어 보면 비결이 녹아 있다. 오늘날의 그 대작들도 그 시작은 미미하였던 것이고, 늘 어느 시대에나 비빌 언덕이 있었다. 더욱이 파일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스택 등 요소 기술의 설계도가 널려 있는 21세기는 한층 쉬울 것이다. 하지만 OS를 키워 내는 일은 별개의 문제다. 수많은 이들의 참여와 호응이 필요한 일이고, 여러 의미에서 그 작품과 작가를 사람들이 좋아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진인사대천명과 같은 쇼 비즈니스적 마음가짐마저 필요하다. 누구나 시작할 수는 있지만, 아무나 박수를 받을 수는 없는 일이 바로 운영체제라는 무대인 셈이다.
올해는 티맥스 윈도우 사태가 벌어진 지 10주년이 되는 해다. MS 윈도우를 대체하겠다고 ‘독립선언’을 하며 대대적인 언론 플레이를 했으나 실태는 속빈강정이었던 그 사건은 우리 사회에 국산 소프트웨어에 관한 냉소를 자라나게 한 안쓰러운 사건이었다.
그 후로도 티맥스 OS로 이름이 바뀌어서 2016년부터 주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올 7월 드디어 일반 사용자용으로 배포 예정이라고 한다. 그 뉴스 후 자사 홈페이지에서 실수인지 잠깐 배포가 이뤄졌는데, 너도나도 설치해 보며 인터넷에서는 한바탕 축제가 펼쳐졌다. 그런데 분위기는 참담. 제대로 도는 것은 없으며, 무언가 가져다가 만든 것 같은데, 그에 공을 돌리고 저작권을 귀속시키는 등 리스펙트가 보이지 않는다고 자발적 리뷰어 들은 입을 모았다. 10년 전과 3년 전 시연회에서의 반응과 분위기가 그대로 재연되었으니,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도 바뀌지 않는 풍경이란 것은 있는 모양이다.
‘리스펙트'가 있어야 ‘리스펙트’가 따라오는 법이다. 운영 체제 성공에, 아니 모든 소프트웨어의 성공에 필수적인 이 감정을 간과하는 일은, 위력에 의해 판매가 가능하다는 기대가 있을 때 저지를 수 있는 일이다. 시장에서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리 없지만, 그 시장이 왜곡되었다면 소비자의 의견 따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산 소프트웨어라고 하면 마치 국산 휘발유 엔진을 처음으로 만들어 냈다고 하는 듯한 고양감이 있고, 이에 끌리는 이들도 있다.
큰 정부 하에서, 정부 정책에 이용 가능한 어용 기업은 쓸모가 있다. 정부 스스로는 할 수 없거나 차마 하기 힘든 일을 모듈화하여 리스크와 함께 외주화할 수 있어서다. 'OS 종속성’, ‘독립’과 같은 자극적인 단어들은 소비자의 애국심은 자극하지 못하지만, 관료들의 공명심은 자극한다.
철의 장벽 안에서 지금도 벌어지는 일들이다. 다만 중국이 비슷한 큰 정부인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 내수의 규모다. 화웨이는 자신의 OS를 성공시킬 수 있을까? 가능할 수도 있다. 아무리 괴작이라도 수억 명이 쓰면 정상으로 보이는 법이고, 심지어 기회의 플랫폼으로 보이기도 하는 법이다.
비슷하지만 결코 아무나 따라 할 수는 없는 관치주의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