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열이 많다면 주목! 몸을 차갑게 하는 음식 10
음식에도 성질이 있다. 사람처럼 찬 성질을 지닌 음식, 따뜻한 성질을 지닌 음식으로 나뉜다. 몸이 따뜻해 무조건 건강하다는 생각이 많은데,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되 몸의 열기가 많을 시에는 찬 성질을 가진 음식으로 체온조절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찬 성질을 지닌 음식은 주로 해열제 작용을 하며, 몸의 염증 증상을 완화시켜주고 소화불량 해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자신의 체질에 맞는 음식을 섭취하면 몸의 영양균형을 물론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몸이 갑자기 차갑다면, 몸의 열기가 가득하다면 지금부터 소개하는 음식을 주목하자.
1. 가지
![]() |
가지는 서늘한 성질을 가진 대표적인 채소다. 기본적으로 성질이 무척이나 차갑기 때문에 체질이 뜨거운 사람의 열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돕는다. 또한 가지의 차가운 성질은 염증 치료에 효과적으로 가지 요리 섭취 시 염증이 가라앉기도 한다. 이외에도 비타민 함유량이 높아 스트레스 해소, 피로회복, 체력증진에도 효과적이며 식이 섬유가 풍부해 장 건강, 변비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2. 오이
![]() |
등산할 때 물이 아닌 오이를 섭취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오이의 수분함량이 많아 체내 수분 충전을 위해서 먹기도 하고, 오이의 찬 성분이 더위 먹었을 때 갈증을 해소해준다. 오이는 몸속의 열을 낮춰주는데, 그 예로 눈의 부기를 뺄 때 찬 오이를 조각내어 눈 위에 올려놓으면 오이의 찬 성질이 뜨거운 피부를 안정화 시켜 붓기 완화에 좋다. 화상을 입었을 때 생즙을 먹고 바르면 효과적이고, 일사병에도 도움이 된다.
3. 파인애플
![]() |
열대지방에서는 아이의 열을 내릴 때 파인애플을 먹인다는 말이 있다. 파인애플을 열대지역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찬 성질의 과일로 몸의 열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야 하는 임산부의 경우 몸이 차면 소화 기능이 약해지므로 주의해야 할 식품으로 여겨진다. 몸에 열이 많은 경우 적당량의 파인애플을 섭취하면 좋지만, 몸이 찬 사람이 파인애플을 섭취 시 정제되지 않을 설탕, 흑설탕을 첨가하면 따뜻한 성질로 파인애플을 중화시켜 먹어도 좋다.
4. 팥
![]() |
여름에 빙수로 자주 접하는 팥은 차가운 성질을 가진 음식이다. 특히, 해열작용에 효과적인 팥은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해열제 작용을 해 열독을 소변으로 내보낸다. 차가운 성질은 소화가 되지 않을 때 위장으로 몰리는 열을 식혀주는 역할도 한다. 그뿐만 아니라 팥은 이뇨작용을 도와 몸속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이에 팥을 삶은 물을 활용한 팥물 다이어트가 유명한데, 몸이 찬 사람을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5. 메밀
![]() |
서늘하고 습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메밀은 몸의 열을 내려주는 차가운 성질을 지닌 음식이다. 체내에 흡수되면 몸을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앉히고, 체하거나 변비 등 소화 효과가 있어 원활한 배변기능을 돕는다. 또한 메밀은 밀가루보다 글루텐 성분이 적어 소화가 잘 된다. 담이 많은 사람이 메밀을 먹으면 몸이 가벼워져 원기회복에도 좋다. 단, 몸이 차갑고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은 메밀을 피하는 것이 좋다.
6. 밀가루
![]() |
밀가루를 다량 섭취 시 속이 더부룩한 경우가 많은데, 밀의 차가운 성질이 위를 처지게 하여 소화불량, 설사 등 소화 기능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밀을 건강하게 섭취하고 싶다면 밀에서 가구를 빼고 남은 찌꺼기 밀기울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밀기울에 포함된 다량의 섬유소질이 수분을 흡수해 변을 묽게 만들어 변비를 예방한다.
7. 미역
![]() |
미역은 '바다의 채소'로 불릴 만큼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몸이 차거나 허약한 사람에게는 오히려 해가 되는 음식이다. 미역은 찬 성질을 가진 식품으로 열과 붓기를 내리는데 뛰어나며 기가 뭉치거나, 가슴이 답답해지는 번열증을 내리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같은 찬 성질을 가진 오이와 만나면 열을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상승한다. 대표적인 요리로 오이와 미역을 함께 넣어 시원하게 먹는 오이냉국이 있다.
8. 전복
![]() |
찬 성질을 가진 대표적인 음식은 어패류다. 그중 하나로 전복은 서늘한 기운이 강해 몸의 열로 인한 두통을 완화시킨다. 또한 전복의 찬 성질이 충혈된 눈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주어, 시력 건강과 회복에도 좋다. 평소 몸이 냉한 사람은 주의하는 것이 좋지만, 반대인 경우 열사병 완화, 체온 유지, 구토와 설사 방지에 효과적이다. 따뜻한 성질인 닭고기와 잘 어울려 삼계탕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더운 여름 땀나고 지친 체력으로 힘들 때 전복을 섭취하면 몸속 더위를 차갑게 식혀주어 건강을 회복하는데 보양식으로 이만한 것이 없다.
9. 게
![]() |
한의학에서 예로부터 꽃게는 차가운 성질을 지닌 음식으로 우리의 몸을 열을 내려준다고 알려져왔다. 해열작용을 물론 각종 염증 증상을 완화시켜주며, 위장 건강, 소화불량 해소에 도움이 된다. 몸이 찬 사람이 꽃게를 섭취할 경우 따뜻한 성질을 지닌 마늘, 생각, 파를 넣은 양념장으로 보완하여 먹으면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다.
10. 돼지고기
![]() |
따뜻한 성질을 가진 소고기, 닭고기와 달리 돼지고기는 찬 성질을 가진 육류다. 돼지고기를 어린이나 몸이 허약한 사람들에게 기운을 주는 좋은 음식인데, 찬 성질 강해 잘 익혀 먹지 않으면 소화기가 찬 성질을 이겨내지 못해 배앓이를 할 수 있다. 이에 돼지고기는 주로 따뜻한 성질을 지는 음식과 같이 먹는다. 수육을 먹을 때는 따뜻한 성질의 새우젓과, 삼겹살을 먹을 때는 부추, 생강, 마늘 등 따뜻한 성질을 가진 음식과 함께 섭취하면 찬 성질의 돼지고기를 중화시켜 소화를 돕는다.
글 : 황현주 press@daily.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