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첫 내집 마련 시기 43살... 그나마 집값의 38%는 대출

앵커


우리나라 사람들은 생애 처음으로 주택을 장만한 나이가 평균 43살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나마 집값의 38%는 대출에 의존하고 있어 내 집 마련의 벽이 여전히 높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이하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결혼을 앞둔 7년 차 직장인 배지훈 씨! 떨어지는 듯했던 서울 집값이 최근 반등 조짐을 보인다는 뉴스를 접할 때는 일이 손에 잡히지 않습니다.


[배지훈 / 회사원 : 집 사면 1억~2억 금방 오른다고 하는데 저는 지금 사려고 하니까 어디에 사야 할지 모르겠고 집값이 언제 오를지 모르니까 사야 하는 시점을 잡기가 어렵고 걱정이 됩니다.]


최근 4년 동안 우리나라 사람들이 내 집을 처음 장만한 나이는 평균 43살! 2년 전 조사 당시보다 1.4년 더 늦어졌습니다. 소득 하위 가구의 경우는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한 시기가 평균 56.7살로, 환갑이 다 돼서야 안정적으로 거주할 내 집을 샀다는 얘기입니다.


오랜 시간에 걸려 내 집을 마련하지만, 재원의 상당 부분은 대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주택가격에서 금융기관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37.8%로 조사됐는데요. 특히 청년 가구의 경우 집값의 45.6%를, 신혼부부는 집값의 43.2%를 빚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가 보유 방법은 기존 주택을 구매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신축 건물 분양과 증여·상속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내 집'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신혼부부가 일반 가구보다 더 높았습니다.


하지만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기간이 2년이 채 되지 않는 비율을 보면, 일반 가구는 1/3을 조금 넘긴 반면, 청년과 신혼부부 가구는 70~80%에 달해, 내 집 마련이 녹록지 않은 상당수 젊은 가구가 전·월세 계약 기한에 따라 이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YTN 이하린입니다.

오늘의 실시간
BEST
ytn
채널명
YTN
소개글
YTN은 한국을 대표하는 뉴스 전문 채널입니다.
    ESTaid footer image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 ESTaid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