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그냥 먼지?" 미세먼지 마스크의 허와 실
미세먼지 없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던 여름과 초가을이 가고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가을 하늘이 미세먼지에 뒤덮이고 있다.
![]() |
전문가들은 과거 미세먼지 농도 월별 통계를 고려하면, 본격적인 겨울이 끝나는 내년 1~2월까지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속되는 ‘미세먼지 시즌’으로 봐야 한다고 말한다. 입자 크기 상관없이 미세먼지는 호흡기, 피부 등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입자가 작아 체내 유입이 쉬운 반면 배출은 어려운 초미세먼지는 특히 위험하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입자 크기가 2.5 ㎛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는 폐에서 걸러지지 않고 혈액으로 스며들어 심장과 중추신경계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대만 아시아대학과 중산(中山)의대 연구팀은 미국의학저널 Journal of Investigative Medicine에 ‘대기오염 물질이 구강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를 공개하고 파괴된 오존 및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사람은 구강암에 걸릴 확률이 43% 높아진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미세먼지 시즌 돌입…미세먼지 적극 대처 필요성 대두
이날 오전 11시 경기, 충북, 전북 지역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다.
국립환경공단은 이날 △경기 북부 △경기 남부 △경기 중부 △충북 중부 △전북 군산 지역에 초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전날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던 △전북 익산 △충남 북부 △전북 전주 지역도 현재 주의보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다.
서울시도 오후 2시를 기준으로 초미세먼지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초미세먼지 주의보는 초미세먼지 시간 평균 농도가 75㎍/㎥ 이상이 2시간 지속될 때 발령된다.
주의보가 발령되면 외출시에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특히 현재 유입되는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 매우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일반 마스크로는 한계가 있다.
![]() |
미세먼지 마스크를 고를 때는 포장 겉면에 ‘KF(Korea Filter)’라는 식약청 인증 표시를 확인해야 한다. KF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효과가 높다.
시중에는 KF80, KF94, KF99라고 적힌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KF80은 평균 0.6㎛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미세먼지 마스크 고를 때 OO 확인해야
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표시·광고하는 시중 방한대·마스크 중 대부분은 실제 차단 효과가 최소 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의약외품인 보건용 마스크는 모두 기준 이상에 적합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유의동 바른미래당 의원과 공동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황사·미세먼지 차단 효과 표시·광고 마스크 35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제품은 조사대상 35개 중 보건용 마스크 20개를 제외한 방한대 및 기타 마스크 15개다.
이들 중 14개 제품은 분진포집효율이 8∼79(평균 40%) 수준으로 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해당 제품들은 ‘미세먼지 황사 마스크’, ‘미세먼지 및 각종 오염병균을 막아주는’ 등 소비자들이 보건용 마스크로 오인할 수 있는 문구를 표시·광고했다.
분진포집효율은 공기를 들이마실 때 마스크가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이다. 분진포집효율이 최소 기준(80% 이상)에 적합한 제품은 대원안전의 ‘4중구조 위생카본마스크’1개 제품에 불과했다. 이 제품은 분집포집효율 88~90%를 기록했다.
조사 대상 가운데 ‘보건용 마스크’(KF94) 20개 제품의 분진포집효율은 95∼99(평균 98)%로 기준(94% 이상)에 적합했다.
![]() |
조사 대상 35개 중 방한대 2개 제품에서는 형광증백제가 검출됐다. 형광증백제는 하얗게 보이는 착시효과를 일으키는 물질로 종이나 섬유를 더욱 희게 보이도록 할 때 사용한다. 눈에 자극을 줄 수 있고 아토피,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 등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방한대 및 어린이용 일회용 마스크에는 형광증백제 기준이 없고, 특히 성인용 일회용 마스크의 경우 안전기준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성인용 일회용 마스크 형광증백제 안전기준 '無'…아토피, 피부염 유발할 수 있어
한편 폐암 환자의 30%는 비흡연자다. 지난 4일 세상을 떠난 한 유명 영화배우도 35년간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고 밝혔다.
최근 극성을 부리는 초미세먼지 역시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폐암학회에 따르면 흡연 외에도 미세먼지, 유전, 기존 폐질환, 라돈·방사선 노출 등이 폐암을 유발한다.
코 점막은 직경 10㎛(1㎛는 0.001㎜) 이상의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고 기관지는 직경 5㎛ 정도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각종 발암물질이 섞인 채 폐를 향해 바로 들어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심정지 같은 질병 뿐 아니라 폐암까지 유발한다.
![]() |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10㎛/㎥ 높아질수록 폐암 발생률은 9%씩 증가한다. 미세먼지 농도가 75㎍/㎥ 이상인 날이 약 1주일 이어지면 사망률이 3.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75㎍/㎥는 국내에서 미세먼지 ‘보통’에 해당한다.
폐암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다. 환자의 90%는 이미 손쓸 수 없을 만큼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된다. 이 때문에 폐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23.5%에 불과하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흡연하지 않는 사람도 조심해야 한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피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