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언론 "한반도 대지진 가능성에 전문가들 우려…'뉴노멀' 주목"
홍태경 교수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진 활동 증가"
히사다 교수 "지각판 이동 빈도 증가...경고 신호"
【포항=뉴시스】강진구 기자 = 포항제철소는 26일 오전 지진계측 장비를 주요 시설물에 설치하고 자동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신속한 지진대응 체계를 마련했다.사진은 포항제철소 직원이 지진계측 수신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2017.04.26.(사진=포스코 제공) photo@newsis.com |
한반도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에 독일 언론이 큰 관심을 나타냈다.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는 20일(현지시간) 최근 한반도에서 소규모 지진들이 이어지고 있는데 대해 "한반도는 지진활동이 많은 지역이 아니지만 지진학자들은 더 큰 지진이 발생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도이체벨레는 한반도 경우 전통적으로 이른바 '불의 고리'의 일부가 아닌 것으로 여겨져 왔다며, 하지만 지진전문가들은 지각판의 이동이 한반도의 '새로운 노멀(a new normal)'이 되는 것인지 여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최근 원주에서 발생한 규모 2.8 지진을 언급하면서, 피해는 없었지만 한국에서 규모 2가 넘는 지진이 발생하기는 2014년 12월 이후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원주 지진 이틀 전에는 북한 땅에서 규모 3.8의 지진이 관측되기도 했다는 것이다.
도이체벨레는 한국 전라도 지역에서만 지난 4월 26일 이후 400번이 넘는 진동이 감지된데 대해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홍태경 연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전남 지역(진동)을 면밀히 모니터하고 있다. 왜냐면 이렇게 단 기간동안 일어나기는 매우 이례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매우 작은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고, 평소 보다 더 깊은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 역시 이례적"이라고 덧붙였다. 보통은 지표면에서 10km 지점에서 일어나는데, 최근에는 20km 깊이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홍교수는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우리는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 이론들을 입증하기 위해선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개인적으로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결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동일본 대지진으로 한반도 동쪽 지역이 동쪽으로 5cm 이동했고, 서쪽 지역이 동쪽으로 이동했는데, 이는 한반도 지각(crust)이 약 3cm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홍교수는 조선 시대 기록에 지진 피해가 기술돼 있는데 최고 규모 7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과거에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비슷한 일이 다시 일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일본 대지진의 결과로 한국이 더 큰 지진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바짝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 고카쿠인대 히사다 요시아키 교수 역시 한반도에서의 지진활동 증가에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지구는 항상 움직이는 판들로 이뤄져 있다. 스트레스가 올랐다가 줄어든다. 그러나 (지각판)이동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신중하게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경고 신호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