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무리 추워도 아이스 음료만 찾는 당신, 사실은 철분 부족?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만 마신다는 '얼.죽.아.' 추운 날씨에도 얼음이 당긴다면, 어쩌면 몸에서 보내는 이상신호일 수 있다.

아무리 추워도 아이스 음료만 찾는 당신, 사실은 철분 부족?

출처: 연예가중계 화면 캡쳐

추운 날씨에 패딩부터 목도리까지 꽁꽁 싸맸지만 얼어 죽어도 아이스 음료를 먹는 얼.죽.아.들! 음료뿐 아니라 얼음까지 다 먹는 이들은 빙식증을 의심해야 한다. 빙식증은 영양적 가치가 없는 물질을 한 달 이상 반복해서 섭취하는 이식증의 일종으로, 몸에 철분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실제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학의 레이놀드 박사(Ralph D. Reynolds)의 얼음 중독과 철분 결핍에 관한 연구 중 철 겹핍성 빈혈 환자 38명 중 23명이 얼음 중독 증상을 보였으며 대다수는 철분을 보충하자 얼음 먹는 것을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리 추워도 아이스 음료만 찾는 당신, 사실은 철분 부족?

이런 증상, 철분부족을 의심하라

피로감

피로감은 철분이 부족한 사람들 절반 이상이 겪는 가장 흔한 증상이다.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은 몸 구석구석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철분이 부족하면 헤모글로빈 생산이 적어져 몸에 산소가 부족해진다. 그러면 평소보다 에너지를 내기 어렵게 된 몸은 쉽게 피로해질 뿐 아니라 집중력이 떨어져 불안정한 느낌을 받는다.


두근거림

헤모글로빈 생산이 적으면 몸 곳곳에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 심장이 빠르게 뛰기 때문에 두근거림이 생긴다. 


쉽게 숨이 찬다

깊게 심호흡을 해도 숨이 찬 이유는 몸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적기 때문이다. 계단을 오르거나 운동을 했을 때 이런 상태를 느끼기 쉽다. 흔히 운동 부족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철분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의심해봐야 한다.


피부 변화

철분이 부족하면 혈중 산소 농도가 옅어져 창백한 얼굴이나 입술, 잇몸, 손톱 등의 신체 일부에 제한적으로 나타나거나 신체 전체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탈모

머리카락이 잘 빠지는 것은 또한 철분이 부족한 상황 중 하나. 영양분이 두피까지 도달하지 못해 모발 손실이 생기는 것이다.


두통

철분이 부족하면 뇌동맥이 부풀어 두통을 일으킨다. 두통이 자주 발생해 두통약을 자주 먹는 사람이면 원인이 철분 부족일 수 있으니 두통약을 일주일에 몇 회 복용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아무리 추워도 아이스 음료만 찾는 당신, 사실은 철분 부족?
Tip 일상에서 철분을 보충하는 방법

① 철분함량 높은 음식 섭취하기

 달걀노른자, 소고기, 우유, 해조류와 과일, 시금치, 견과류 등이 도움된다. 특히 고기에 들어있는 철분이 가장 흡수가 잘 되므로 고기를 많이 먹는 것이 좋다. 무쇠로 된 조리 도구는 음식의 철분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요리할 때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② 철분 보충제 복용하기

빈혈로 어지러움이 있는 경우라도 의사의 정확한 진단 후에 복용하는 것은 기본. 진단 후 철 결핍성 빈혈환자가 철분제를 복용하기 시작하면 증상이 급속도로 좋아지며 2개월 정도 후에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화된다. 그러나 우리 몸에서 결핍된 철분량을 모두 채우기 위해서는 단기간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약 6개월 정도 약을 꾸준히 섭취해야 한다.


③ 비타민 먹기

엽산(비타민 B9), 비타민B12, 비타민C는 철분 흡수를 도와주므로 충분히 섭취한다. 엽산은 녹색 잎채소나 연어, 비타민B12는 우유나 김, 비타민C는 감귤류 과일이나 주스에 많이 들어있다.


④ 커피와 녹차 자제하기

특히 빈혈인 사람에게 좋지 않은 커피와 녹차. 커피 속 카페인은 적혈구를 만드는 데 필요한 철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녹차 속 타닌 성분도 체내에 철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한다. 만약 커피나 녹차를 마실 때 식사 시 섭취한 영양소가 몸에 골고루 흡수될 수 있도록 식사 전후 1시간 동안은 피하는 것이 좋다.


기획 서현정 사진 셔터스톡, KBS '연예가중계' 화면 캡처

추천기사

  1. 95세 송해의 건강 비결이 오후 4시 목욕이라고?
  2. 지금 아니면 못 먹어요! 3월에 꼭 맛봐야 할 음식
  3. 영양제에 쏟는 돈만 연간 11억원, 미래학자가 먹는 영양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