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간 흑백사진만 고집한 어느 사진가의 집념
흑백 사진 대가 민병헌 작가의 '새' 전시
100년 된 서양식 고택을 작업실로
지독한 탐미주의자의 고집스러운 인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담백한 수묵화인 듯 또는 거친 목탄화인 듯. 여러 장의 흑백사진 속에서 ‘새’는 화면을 가득 채우며 창공을 날아올랐다가 때로는 수평선 끝에 점처럼 숨어버린다.
“선생님, 새는 어디 있나요?”
“나는 그냥 자연을 찍은 거고, 그 자연의 한 구탱이에 새가 있는 거지.”
이 선문답 같은 대화의 주인공은 민병헌(66) 사진가다. 오늘부터 12월 2일까지 서울 신사동에 있는 갤러리 나우에서 그의 사진전 ‘새’가 열린다. 20년 간 잡초, 안개, 강 등 여러 주제로 촬영하다 “재밌어서 한두 장 찍어 본” 새 사진들만 모아 소개하는 자리다.
“지나간 것은 미련 없이 다 잊어버려요. 옛날 필름들 뒤져서 뭐 적당한 제목으로 엮을 거 없나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어. 그런데 나이가 들었는지 필름 정리는 해둬야겠다 생각하고 보니 새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찍은 시간·장소·광선도 다르고, 인화 톤이나 콘트라스트도 다 다른데 그게 또 매력이더라고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병헌 사진가는 1984년 개인전을 연 이후로 지금까지 아날로그 흑백사진만 고집하며 촬영부터 현상, 인화까지 혼자 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흑과 백, 그리고 그 사이에 스며든 수많은 회색의 향연. 젤라틴 실버 프린트에서 은은하게 빛나는 미묘한 이 색감을 사람들은 ‘민병헌 그레이(grey)’라고 부른다. 그가 36년간 흑백사진에만 몰두해온 이유는 단순하다. 현상과 인화를 남에게 맡겨야 하는 컬러사진과는 달리 흑백사진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직접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엔 컬러사진도 해보고 싶었는데 약품 값에 설비비용까지 돈이 많이 들어서 포기했죠. 그나마 흑백사진은 만만했어요. 하하.”
말은 이렇게 했지만 그의 암실 작업은 절대 만만치 않다. 작은 소리조차 거슬려 환기팬 하나 설치하지 않고, 마스크나 장갑도 없이 독한 화학물질과 씨름하며 낮밤을 거꾸로 살았던 세월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힘들죠. 나이 들수록 허리도 아프고 눈도 침침해져서 한번은 내가 왜 이렇게 여기에 집착하나 생각해봤더니 열등감을 피해 도망갈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 암실이더라고요.”
민병헌 작가는 사진을 전공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때 음악에 빠졌지만 오래 가지 못했다. 친구와 같은 대학을 가기 위해 생각 없이 전자공학과를 택했지만 군대에 다녀온 후 복학하지 않았다. 대신 신촌에서 만화방과 군고구마 장사를 하면서 우연히 카메라를 알게 됐다. 곧바로 고등학교 은사이자 사진작가인 홍순태 선생님을 찾아가 흑백사진을 배웠다. 1987년 ‘별거 아닌 풍경’으로 주목받기 시작해 ‘잡초’ ‘스노우랜드’ ‘폭포’ ‘강’ ‘누드’ 등을 주제로 꾸준히 사진전을 열고 사진집을 발표했다. 선배·후배 할 것 없이 디지털 카메라에 빠져들 때도 그는 필름을 사용하는 롤라이 플렉스 중형 카메라만 고집했다.
“성격상 남의 손이 닿는 걸 싫어해서 디지털 카메라를 못 써요. 인화를 맡겨야 하니까. 제일 중요한 이유는 사진을 찍고 바로 보는 게 너무 싫어. 산꼭대기에 올라가 하루 종일 찍은 필름을 실수로 망쳐버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배낭에 필름을 넣고 집으로 돌아올 때 ‘내가 오늘 최고의 사진을 건졌다’고 느끼는 충만감이 너무 좋아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의 사진들에는 흑백사진이라는 것 외에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수식어 없이 직설적인 단어만으로 사진을 소개한다는 점이다. 이번 새 사진에도 시리즈의 일련번호, 프린트 사이즈, 몇 년도 작업인지만 밝혔을 뿐 어디서 찍었는지조차 설명이 없다.
“옛날부터 내 사진에는 메시지가 없었어요. 내가 본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뿐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 들어줘’라고 주장하기 싫어요. 그건 보는 사람이 알아서 할 일이죠.”
극도로 불친절하고 이기적인 사진이지만 그래서 더 자세히, 자꾸 들여다보게 되는 매력이 있다.
“지구에서 최고로 욕심이 많은 사람이죠. 하하. 내가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을 찍고, 이게 어떻게 보일까 하는 고민 따윈 없이 내 머릿속 이미지만 프린트에 담아내니까요. 촬영장소도 유명한 곳이 아니에요. 그저 그곳에 내가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대상이 있고, 그걸 온전히 나만 즐기고 싶어서 사람이 없는 새벽, 눈·비오는 날을 골라 트라이포드를 받쳐놓고 마냥 보는 거예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기적으로 자연을 즐기는 그의 취향은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도 잘 드러난다. 2016년 옮긴 군산의 작업실은 100년이 넘은 서양식 고택이다. 1960~80년대 전북에서 제일가는 갑부가 살았다는 ‘고판남 가옥’. 이 집은 올해 초 집을 다루는 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300평 대지에 본채와 별채, 창고가 2개 있다. 정원에는 수십 종의 나무와 꽃들이 자란다. 응접실에 오디오 시스템과 디자인 가구들을 들이고 '미국 뽕짝'인 컨트리 음악을 들으며 와인을 마시는 일상. 지독한 탐미주의자다운 선택이다.
“암실 작업을 못하게 되면? 사진도 그만 둬야죠. 몇 십 년 잘 놀았다 박수치고 끝내는 거죠. 내가 암실에서 극도로 집요할 수 있었던 건 다른 면에선 한없이 게을러서예요. 그러니 새롭게 디지털 카메라 배우기가 얼마나 귀찮겠어요. 하하.”
글=서정민 기자 meantree@joongang.co.kr 사진=민병헌, 이은석(프리랜서)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