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젊을 때 뼈 빠지게 일해도 43세 정점뒤 58세부터 '적자 인생'

통계청 '국민이전계정' 조사


한창 젊을 때 벌어놓은 임금ㆍ자영업 소득만으로는 ‘인생 적자’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상 43세 때 흑자 정점을 찍고 58세 이후론 적자 그래프를 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국민이전계정’ 통계에서다.

중앙일보

자료: 통계청

국민이전계정은 올해 처음 발표한 국가 통계다. 민간 소득과 정부 재정 등이 세대별로 어떻게 이전ㆍ배분되는지, 소비는 어떤 연령에서 얼마나 이뤄지는지 보여주는 재분배 지표다. 생애주기 흑자ㆍ적자는 상속 등을 포함한 이전 소득과 금융 소득 등을 제외한 순수 ‘노동 소득’에서 소비를 빼서 산출했다. 최바울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장은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ㆍ영향을 가늠할 수 있는 통계”라고 소개했다.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15년 기준 0~14세 유년층은 118조원 적자를 냈다. 소득이 없고 소비만 있어서다. 15~64세 노동연령층은 87조원 흑자, 65세 이상 노년층은 82조원 적자를 각각 냈다. 생애주기 적자 총량은 전년 대비 11.7% 감소한 112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최 실장은 “소비가 2.8% 늘어난 반면 노동소득이 5.4% 증가해 생애주기 적자 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생애주기별로 보면 태어나서부터 28세까지 적자로 살다 29~57세는 흑자로 돌아섰다. 그리고 58세 이후로는 줄곧 적자가 늘어났다. 1인당 따져봤을 때 유년층 적자는 16세에서 2460만원으로 최대를 기록했다. 노동 연령층에서 흑자는 43세에서 1306만원으로 가장 컸다. 소비를 뜯어보면 민간 교육 소비는 16세에서 1인당 511만원으로 최대, 민간 보건 소비는 75세에서 1인당 130만원으로 최대, 민간 기타 소비는 32세에서 1인당 1324만원으로 최대를 각각 나타냈다.


쉽게 말해 젊을 때 뼈 빠지게 벌어 유년ㆍ노년 때 먹고사는 구조인데 전체적으로는 적자란 얘기다. 이는 1985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케인스학파의 석학 프랑코 모딜리아니의 ‘라이프사이클 가설’과 상통한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노년에 대비해 어떻게 소비하고 저축하는지 규명한 가설이다.


라이프사이클 가설에 따르면 소비는 전 생애에 걸쳐 일정하거나 혹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띤다. 하지만 소득은 일반적으로 중년기에 가장 높고 유년기ㆍ노년기에는 낮다. 당연히 저축률은 중년기에 높고 유년기ㆍ노년기에 낮다. 모딜리아니는 이 가설에 따라 소비가 현재 소득이나 자산뿐 아니라 남은 생애 동안 기대되는 미래 소득 흐름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실시간
BEST
joongang
채널명
중앙일보
소개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