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일상등산사] 2019년 4월, 그 섬은 섬이 아니게 된다

일상등산사

■ 무의도

바다이면서 산이 되는 서해의 섬

산행·암벽등반·백패킹·라이딩…

찾아보면 무궁무진한 즐길거리


내년 육지 잇는 다리 들어서면

섬은 섬이라는 이름만 남길뿐

배 탈 기회는 마지막일 수도


여름은 섬의 계절이다.


섬은 바다이면서 산이다. 바다에서 몇 걸음만 나오면 바로 산에 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바다와 산의 경계선은 발가벗은 붉은 해벽이다. 섬의 적나라한 속살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옛날에 선녀가 내려와 춤을 추었다. 하여 무의도(舞衣島)라 한다. 그런데 그 옷을 누가 훔쳐갔다. 그래서 무의도(無依島)로 불리기도 한다. 장수가 관복을 입고 춤추는 모양새가 어떤지는 확실치는 않으나, 그런 모습이라 하여 다시 무의도(舞衣島)라고도 한다.


함세덕(1915~1950)은 희곡 ‘무의도 기행’ 첫 줄을 이렇게 시작한다.


‘서해안에 면한 무의도(舞衣島:떼무리라고 부른다)라는 조고만 섬….’


떼무리는 소무의도를 말한다. 큰떼무리는 대무의도다. ‘무리’가 ‘무의’로 변했고 ‘무의’에 다시 한자를 입혔다는 설이 설득력 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여 년 전까지, 무의도에 가는 길은 머나멀었다. 복잡했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큰 배’를 타고 갔다. 중간에 환승을 해야 했다.


무의도에서 자란 지인은 실눈을 뜨며 가물가물해진 기억을 더듬었다.


“연안부두에서 큰 배를 타고 무의도로 가다보면 통통배가 마중 나왔다. 큰 배 선체에 문짝처럼 생긴 나무판을 탈부착 형태로 갖다 놨는데, 그걸로 배와 배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로 만들었다”고 했다.


이제 배는 인천 용유의 잠진도 선착장에서 출발한다. 잠진도 선착장에서 출발한 배는 10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뱃머리를 반 바퀴 돌린 뒤 건너편 큰무리 선착장에 사람과 배를 토해낸다.


무의도의 길은 사실상 하나다. 실미도와 하나개해수욕장으로 빠지는 길이 있지만 대부분의 관광객은 큰길 하나를 따라간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ip!

이 쯤에서, 여행지가 더 궁금해졌다면?!

호텔 예약은 호텔스컴바인에서!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 여기는 이 버스의 종점입니다. 소무의도는 여기서 내려 걸어서 가야합니다.”


큰무리 선착장에서부터 페달을 밟은 무의도 버스 운전기사의 이 말은 언제나 반복된다. 하지만 방송을 제대로 못 듣고 있다가 운전기사에게 재차, 삼차 묻는 사람들도 언제나 등장한다.


무의도 산행은 이곳에서 시작한다. 섬 머리인 큰무리 선착장이 아니라 발끝인 소무의도 입구에서부터 거슬러 올라 섬 머리로 향해야 배편 귀갓길이 편해진다. 호룡곡산(245m)과 국사봉(236m) 두 개의 꼭짓점을 지나면 섬 종주산행이 완성된다. 이 두 봉우리 사이에는 하나개해수욕장 진입로가 가로지른다. 호룡곡산에서 내려서 다시 국사봉을 오르자니, 바다의 유혹이 밀려 올 듯하다. 아예 해안 등산로로 접어들어도 된다. 때죽나무와 해송 빼곡한 계곡을 내려서면 바다와 어깨를 맞대고 걷는 길이 나온다. ‘환상의길’로 이름 붙였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나개해수욕장에 이르기 전에 탄탄하게 그을린 붉은 해벽을 만난다. 등반가들의 오름짓이 이 섬의 물새들 같다. 정장석 화강암으로 이뤄진 붉은 벽의 절리들이 등반가들의 어깨 근육처럼 조밀하다.

촤, 촤, 촤. 물이 들어온다. 하지만 바닷물은 등반의 경계선을 넘지 않는다. 물때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해벽 등반하려는 이들은 물때를 잘 보고 가야할 것이다.


이 리아시스식 해안의 해벽에는 60여 개의 등반길이 있다. 윤길수(61)씨가 개척했다. 이 해안을 따라 바다 위에 550m의 나무데크 다리가 생겼다. 인천시 중구에서 30억 원을 들여 만든 해상관광탐방로다. 이 탐방로에서 해벽 등반 모습을 볼 수 있다. 갯벌에 물이 찰 때면 탐방로 기둥 3m까지 잠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나개해수욕장의 모래도 붉다. 벌거숭이 아이들은 그 모래 위에서 발갛게 익어간다. 해수욕장 입구, 자전거 부대가 나타난다. 라이더들은 대개 큰무리 선착장에서 소무의도까지 찍고 돌아간다. 가슴 팔딱이는 고갯마루 네 곳을 넘어야 한다. 그 중 세 번째, 하나개해수욕장 갈림길 지나 만나는 비탈은 만만치 않다. 이들은 그곳에서 심장을 한껏 부풀리고 왔을 터이다.


무의도에는 다리가 계속 생겼다. 2012년 소무의도를 연결하는 다리가 들어섰다. 2018년 해상관광탐방로가 생겼다. 그 사이 하나개해수욕장과 환상의길을 연결하는 다리가, 산길의 작은 계곡을 뛰어넘는 작은 다리가 여러 곳 만들어졌다. 내년, 2019년 4월에는 잠진도와 무의도를 잇는 다리가 들어선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나개해수욕장 앞에서 만난 한 상인은 이렇게 말했다.


“다리가 생겨도 배는 계속 다니면 좋겠어요. 15분도 채 걸리지 않는 시간이지만, 배를 타고 무의도로 오는 건 큰 즐거움이거든요.”


등산, 암벽등반, 백패킹, 해수욕, 자전거 라이딩, 짚라인, 드라이브, 해상탐방, 조개잡기…. 수도권에서 가장 가깝다는 섬에서 우리는 하고많은 것을 할 수 있다. 그 구성들의 조합은 온전히 개인의 몫이다.


하지만 바다를 메운 곳은 더 이상 바다가 아닌 것처럼, 뭍과 다리로 이어진 섬은 더 이상 섬이 아니다. 그 섬이 사라지기 전에 한 번 가볼 일이다. 올 여름이 마지막 기회일 것 같다.


김홍준 기자 rimrim@joongang.co.kr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 (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ip!

여행 계획의 시작! 호텔스컴바인에서

전 세계 최저가 숙소를 비교해보세요. 

오늘의 실시간
BEST
joongang
채널명
중앙일보
소개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