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휴가는 없다” 회장님들도 ‘방콕행’
경영환경 불투명 자리 못 비워
자택 머물며 포스트 코로나 구상
구광모 휴가계획, 일정은 못 잡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올해 여름 휴가 계획이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국내외 경영환경이 불투명해서다. 그룹 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한 검찰의 기소 여부 판단이 임박한 것도 이 부회장으로선 자리를 비우기에 부담스러운 이유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에도 여름 휴가를 가지 않았다. 일본의 수출규제 등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지난해 7월에는 일본을 방문해 현지 대형은행과 반도체 소재 업체 관계자 등을 만났다. 2018년에는 유럽 출장길에 올라 글로벌 자동차 업체 관계자들과 회의를 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은 휴양지 대신 자택에 머물며 하반기 경영구상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 자동차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우려돼서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부상 등에 따른 미래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도 대응해야 한다.
국내 주요 그룹사 총수 중 대부분은 이번 여름에 휴양지로 떠나는 휴가를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업 분야별로 새로운 고민거리가 떠오르고 있어서다. 한마디로 ‘거느리고 있는 게 많은 만큼 고민도 많은’ 모양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활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최 회장은 경영 실적에 못지않게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부쩍 강조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말 SK㈜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기업과 사회를 막론하고 개인의 최소한의 안녕을 책임지는 안전망이 위협받고 있다”며 “기존과는 다른 관점과 다른 수준의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여름을 보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올해는 한국에 머물며 경영 현장을 챙기기로 했다. 유통·화학 등 국내 계열사들의 실적 하락 속도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신 회장은 올 초부터 꾸준히 계열사별 현금 유동성 확보를 강조해 왔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과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여름 휴가 기간 중 자택에 머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존 방향에 대해 고민할 계획이다. 허 회장과 정 부회장은 모바일과 인공지능(AI)에 기반을 둔 디지털 혁신을 피할 수 없는 과제로 보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아직 휴가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코로나19 등의 이유로 최 회장의 여름 휴가는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전했다.
포스코 안팎에선 “경영위기를 반영한 결정”, “그만큼 불황 극복책이 절실하다는 의미”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 4월 포스코는 올해 매출액 전망치(연결 재무제표 기준)를 57조5400억원으로 수정했다. 지난 1월 제시했던 전망치(63조7900억원)보다 6조2500억원이 줄어든 규모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광모 ㈜LG 대표는 아직 일정을 정하진 않았지만 여름 휴가를 다녀올 예정이라고 한다. 지난해에도 여름 휴가를 다녀왔다. LG그룹 관계자는 “구 대표는 아무리 바빠도 최고경영자(CEO)부터 직원까지 여름 휴가로 휴식을 취하며 재충전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며 “올해는 코로나19 등을 고려해 휴가 기간 중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유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수기·강기헌·최선욱 기자 lee.sooki@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