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에버랜드 동물 9억이면 몽땅 산다?

동물원만의 독특한 회계법

사올 때 가격만 장부에 기재

감가상각 5년 지나면 ‘0원’

동물원서 태어나도 계산서 빠져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7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운영하는 자산처분시스템(온비드)에 서울어린이대공원이 내놓은 사자 4마리가 매물로 나왔다. 공매 시작가격은 1320만원. 다른 동물원이나 수출입업체들이 입찰에 참여했다. 온비드에는 2015년 일본원숭이 2마리, 2016년에도 라쿤(미국 너구리) 3마리가 매물로 나오기도 했다. 동물원에서 지내는 동물들도 엄연히 거래 시장이 있는 ‘상품’인 셈이다.

사자 4마리가 최소 1320만원 정도였다면, 호랑이·표범·코끼리·코뿔소 등 동물원에 모인 수백~수천 마리 희귀 동물들의 재산 가치는 어림잡아 몇백억 원은 돼 보인다. 하지만 실제 동물원을 운영하는 기업의 회계장부를 뜯어보면 이런 예상은 빗나간다.


용인 에버랜드를 운영하는 삼성물산의 2015년 말 재무제표 주석을 보면 이 회사 동물 자산은 8억8800만원(순장부금액)으로 나와 있다. 삼성물산이 2016년 회계처리 방식을 바꾸면서 최근 연도의 정확한 동물 자산 규모는 알 수 없지만, 동물원 규모가 크게 변한 건 없기 때문에 대략 장부상 10억원 어치의 동물들이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동물들의 자산가치가 예상보다 낮은 비밀은 동물 자산의 특이한 회계처리 방식에 있다. 우선 동물이라고 해서 모두 재무제표에 잡히는 게 아니다. 동물원이 시장에서 구입한 동물들만 매입 가격(취득원가)으로 자산 항목에 기록된다. 그러다 보니 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동물들은 재무제표에 반영돼 있지 않다.


동물들은 살아 숨 쉬는 생명체이지만, 건물·기계장치처럼 유형자산으로 분류돼 있다. 동물은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형체가 분명하고, 이를 앞으로 돈을 버는 데(미래의 경제적 효익)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물원 재무제표상 유형자산으로 기록된 동물들은 건물이나 기계와 똑같이 처음 취득한 가치를 향후 쓸 수 있는 기간으로 나눠 감가상각한다.


흥미로운 점은 180년을 살 수 있는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이나 60년은 사는 아프리카코끼리나 모두 5년만 산다고 가정하고 감가상각을 한다는 것이다. 동물 종류별로 실제 수명을 계산해 회계처리를 하면 정확하겠지만, 동물들의 수명을 일일이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동물들이 5년만 지나면 모두 회계장부상 가치가 ‘0원’이 되니 동물원 재무제표에 기록된 동물 자산의 가치는 우리 상식과 달리 적게 기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실시간
BEST
joongang
채널명
중앙일보
소개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