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호의 현문우답]"침팬지도 아는데 인간이 몰라"···자녀 '진화'시키는 최재천 팁
[백성호의 현문우답]
다들 고민입니다. “자식을 어떻게 키워야 하나.” “어떤 식으로 교육을 해야 하나.” 우리는 대부분 자신이 살아온 삶을 기준선 삼습니다. 거기에 맞추라고 자식에게 요구합니다. 왜냐고요? 나한테는 그게 ‘정답’으로 보이니까요. 그게 ‘전부’로 보이니까요. 그런데 그게 정말 정답일까요?
기성세대는 주입식 교육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암기식 교육을 받으며 컸습니다. 그래서 주어진 정답에 익숙합니다. 그런데 젊은 세대, 혹은 어린 세대는 다릅니다. 그들은 자신의 답을 스스로 만들어가야 하는 세대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서 간격이 생기더군요. 부모가 받았던 교육 방식과 자식이 받아야 할 교육 방식. 둘이 너무 다르니까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껏 숱한 석학과 현자, 영성가들을 만나 인터뷰를 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자식 교육’에 대해 남다른 혜안을 제시한 이들이 셋 있었습니다.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와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 그리고 기독교 영성가인 이재철 목사입니다.
크게 보면 두 가지 물음입니다. “자식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 무엇입니까?” “그걸 어떤 식으로 실생활에 적용하면 됩니까?” 이들의 답에는 ‘공통 분모’가 있었습니다. 표현 방식은 서로 달랐지만, 뜻하는 바는 깊게 겹치더군요.
#풍경1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진화생물학자입니다. 그는 평생 동물과 식물의 삶을 관찰하고 연구하며 살아왔습니다. 다시 말해 거대한 자연을 연구하며 살아온 셈입니다. 인간도 사실 자연의 일부입니다. 자연으로부터 뚝 떨어진 인간의 삶이 과연 가능할까요. 그래서 그에게 물었습니다. “자식을 어떻게 키워야 합니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 교수는 생물학자답게 ‘새’를 예로 들었습니다. 그는 “새가 나는 걸 가르치는 광경을 본 적이 있느냐?”고 되물었습니다. 어미 새가 아기 새를 가르치는 장면 말입니다.
Q 어떻게 가르칩니까.
“어미 새는 ‘이렇게 날아라’ 혹은 ‘저렇게 날아라’하면서 새끼 새에게 간섭하지 않습니다.”
Q 간섭하지 않는다고요? 그럼 어떻게 가르칠 수 있습니까.
“그냥 어미 새가 여기서 저기로 ‘후루룩’하고 날아갑니다. 그걸 보고서 새끼도 따라 합니다.”
Q 처음부터 새끼가 날 수 있을까요. 나무에서 떨어지는 새끼도 있지 않을까요.
“물론 있습니다. 그럼 나무 위로 다시 올라가 공중에 자신의 몸을 던지는 겁니다. 서부 아프리카의 침팬지도 마찬가지입니다. 견과류를 깨 먹을 때 말입니다. 어미는 돌로 쳐서 깨 먹는 걸 새끼에게 보여줍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그럼 새끼 침팬지는 어떻게 합니까.
“새끼도 아무 돌이나 주워서 따라 합니다. 물론 처음부터 잘 되진 않습니다. 견과류를 올리는 받침돌도 처음에는 평평하지 않은 걸 고릅니다. 그래서 열매가 자꾸 굴러서 떨어집니다. 여기서 어미 침팬지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Q 어미 침팬지는 어떤 태도를 취합니까.
“새끼가 제대로 못 한다고 절대로 짜증을 내지 않습니다. 보다가 답답해서 대신 견과류를 깨주지도 않습니다. 대신 무한한 인내심으로 새끼와 함께할 뿐입니다. 제대로 못 한다고 새끼를 내치는 법도 없습니다.
#풍경2
새와 침팬지의 교육법을 듣다가 생각났습니다. “아, 이건 자연이 자연을 가르치는 방법이구나.” 사실 인간도 자연의 일부입니다. 그러니 자연이 자연을 가르치는 방식이야말로 가장 자연스러운 교육법일 수도 있겠구나 싶더군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터뷰를 하다가 제가 밑줄을 긋고 싶은 두 대목이 생겼습니다. 하나는 어설프게 날갯짓을 하다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새끼 새입니다. 또 하나는 새끼 침팬지가 둥근 돌 위에 견과류를 놓다가 자꾸만 굴러떨어지는 장면입니다. 두 장면은 새끼들이 하는 실수의 광경이고, 시행착오의 광경이고, 더 깊이 말하면 고통의 광경입니다.
그런데 어미 새와 어미 침팬지는 그걸 묵묵히 지켜보는 겁니다. 왜 그럴까요. 그런 실수와 시행착오, 다시 말해 그런 고통이 온전히 자식의 몫이 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결정적으로 여기서 갈리더군요. 자연은 하는데, 인간은 하기 힘든 지점 말입니다. 자연이 하니까, 인간도 해야 할 지점 말입니다. 자연에게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육법 말입니다.
#풍경3
최재천 교수는 자식 교육에서 필요한 게 “아름다운 방황과 따뜻한 방목”이라고 말했습니다. 부모는 대부분 “방황=고통”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식의 삶에서 그걸 없애주려고 애를 씁니다. 최 교수의 답은 달랐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자식이 방황하는 걸 좋아하는 부모가 있습니까. 자식의 방황을 사전에 방지하려고 다들 애쓰지 않나요.
“저는 학생들에게 특강을 할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방황하라’고 말합니다. 그냥 방황하지 말고, 아주 열심히 방황하라고 합니다. 그걸 통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걸 찾으라고 말합니다.”
Q 부모는 그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아이들이 방황할 때 못 하게 하면 곤란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방황할 수 있도록 풀어줘야 합니다. 저는 그걸 ‘방목’이라고 부릅니다.”
Q 방목을 하다가 아이가 절벽으로 떨어지면 어떡합니까.
“그래서 방목을 하되, 따듯한 방목이 필요합니다. 무작정 하는 방목이 아닙니다.”
Q ‘따뜻한 방목’이라, 그게 뭔가요.
“비유하자면 조금 넉넉한 길이의 개 줄이 필요합니다. 고작 1미터짜리밖에 안 되는 것 말고요. 아이를 꽉 붙들어 매지 마시고 넉넉하게 매 놓았다가 행여 절벽으로 떨어질 것 같으면 줄을 당기셔야 합니다. 관심을 갖되 안 보는 척하며 곁눈질로 항상 주시하라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 부모들은 개 줄 정도가 아니라 아예 수갑을 채워서 다니지 않나요. 그건 방목이 아니라 사육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방목이 아니라 사육을 하면 어떤 문제가 생깁니까.
“자식 농사를 사업에 비유를 해볼게요. 자식을 낳고 키워서 ‘제품’을 만들어 사회에 내보내는 거라고 합시다. 그런데 사육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아무리 잘해도 남들과 비슷한 놈밖에 못 만듭니다. 그걸 원하면 계속 사육을 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기가 막힌 제품’을 한번 만들고 싶다면 어떡해야 할까요. 방목을 하시라는 말입니다. 닭도 풀어 키운 놈이 쫄깃하고, 배도 벌레 좀 먹어도 밖에서 자란 게 기막히게 맛이 답니다.”
#풍경4
듣다 보니 역시 관건은 ‘고통’입니다. 자식이 겪게 될 방황, 다시 말해 자식이 감당할 고통을 과연 부모가 지켜볼 수 있을까. 이 문턱을 넘어서려면 ‘고통’이 무엇인지, ‘고통’이 자식 교육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겠더군요. 그걸 모르면 새끼가 날려고 할 때마다 어미 새가 개입하고, 새끼 침팬지가 견과류를 빻을 때마다 어미가 받침돌을 골라 주려고 할 테니까요.
Q 대부분 부모가 자식이 ‘고통’을 맛보는 걸 싫어합니다.
“가령 뜨거운 주전자를 만졌다가 손을 데었어요. 그럼 다시 안 만지게 되죠? 만약 이때 고통을 느끼지 못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손을 난로 위나 장작불 속에도 집어넣겠죠. 결국 다 타 버리는 겁니다. 진화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고통은 지구상의 생명체에게 꼭 필요한 겁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진화의 관점에서 보는 고통, 어떤 건가요.
“지구가 생겨난 이후 자연환경은 끊임없이 변해 왔습니다. 지구의 기온이 뚝 떨어지는 빙하기가 올 수도 있고, 거대한 화산 폭발로 지각 변동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크게 혹은 작게, 자연환경은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이런 변화가 모든 생명체에게 큰 위협입니다. 그때마다 생명체는 고통을 느낍니다. 나의 몸과 자연의 몸, 둘 사이에 생기는 간격 때문입니다. 이런 고통 속에서 간절함이 생겨납니다.”
Q 어떤 간절함인가요.
“살아남기 위한 간절함입니다. 가령 강물에는 먹이가 없고, 육지에만 먹이가 있어요. 그럼 물고기에게는 간절함이 생깁니다. 땅으로 올라가 먹이를 먹으려는 간절함입니다. 물고기의 몸과 마음을 관통하는 그런 간절함이 결국 진화의 방향을 설정하지 않았을까요.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땅 위를 걸을 수 있는 앞발로 변하게끔 말입니다.”
#풍경5
결국 고통은 간절함을 낳고, 간절함은 우리를 진화하게 하는군요. 자식 교육에서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부모가 아이가 겪게 될 한두 번의 고통이 두려워서, 그걸 사전에 차단하면 어떻게 될까요. 결국 ‘아이의 진화’를 막게 되지 않을까요. 누구보다 아이의 진화를 원하는 부모가, 누구보다 앞장서서 아이의 진화를 막는 셈이 되고 맙니다. 세상 어느 부모가 그걸 원하겠어요? 그런데 아주 많은 부모가 실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생각할수록 정말 그렇습니다. 마당에 풀어 키운 닭이 더 건강합니다. 방사한 닭이 낳은 계란이 더 값집니다. 나무에서 떨어져 본 새끼가 가장 먼저 날게 됩니다. 우리만 모르는 걸까요. 아이가 겪을 시행착오와 고통이 ‘독’이 아니라 ‘약’이라는 걸 말입니다. 인터뷰 말미에 최 교수는 “아름다운 방황과 따뜻한 방목”을 거듭 당부했습니다.
글=백성호 종교전문기자,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vangogh@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