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500m 더 달려야 이륙···40도 폭염, 비행기도 더위먹어
기록적인 무더위 속에 인천공항 활주로에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
레일의 온도가 급격히 치솟으면서 휘어질 위험이 커지는 탓에 열차 운행 속도를 줄이는 게 대표적입니다. 열을 받은 레일이 팽창하면서 휘어진 상태에서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탈선 사고 위험이 높기 때문인데요.
KTX, 레일 온도 64도 넘으면 운행 중단
이 때문에 한낮에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때 열차들이 예정보다 늦게 도착하는 상황이 종종 생기는데요. 열차 운행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레일에 물을 뿌려 식히는 살수 작업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코레일 작업자들이 레일 온도를 낮추기 위해 물을 뿌리고 있다. [사진 코레일] |
대한항공에 따르면 현존하는 최대의 여객기인 A380이 인천공항에서 뜰 때 통상 이륙 거리는 3020m 정도 되는데요. 기온이 20도이고 바람이 불지 않는다는 조건에서입니다. 그런데 기온이 30도로 올라가면 이륙거리가 3120m로 100m가량 늘어납니다.
항공기, 기온 오르면 활주 거리 증가
활주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기름도 더 쓰게 되는데요. 무더위 속에 더 멀리 달리고 연료도 더 쓰게 되니 그만큼 능률이 떨어지는 겁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럼 이런 현상은 왜 생길까요. 비행기가 추진력을 얻는 원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통상 항공기 엔진은 활주로 주변에 있는 다량의 공기를 빨아들인 뒤 이를 여러 번의 압축과정을 거쳐 고압의 압축공기로 만듭니다.
여기에 연료를 분사해 혼합한 뒤 폭발시켜 엔진을 돌리는 힘을 얻는 건데요. 하지만 날씨가 더우면 활주로 부근의 공기밀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공기밀도는 기온이 오르면 낮아지고 기온이 떨어지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데요.
A380, 40도 때 500m 더 달려야 이륙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한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항공기 제작사에서 비행기를 만들 때 외부 온도가 30도를 넘을 경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일부러 제한한 건데요. 고열로 인해 엔진 내 터빈 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설명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천공항 4000m 활주로로 유사시 대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항공기 성능이 향상돼 웬만해서는 무게를 줄이지 않고도 조금만 더 달리면 이륙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아무쪼록 열차와 항공기 모두 기록적인 무더위 속에 안전 운항하길 기원합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앙일보 (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