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500m 더 달려야 이륙···40도 폭염, 비행기도 더위먹어
![]() 기록적인 무더위 속에 인천공항 활주로에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
레일의 온도가 급격히 치솟으면서 휘어질 위험이 커지는 탓에 열차 운행 속도를 줄이는 게 대표적입니다. 열을 받은 레일이 팽창하면서 휘어진 상태에서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탈선 사고 위험이 높기 때문인데요.
KTX, 레일 온도 64도 넘으면 운행 중단
이 때문에 한낮에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때 열차들이 예정보다 늦게 도착하는 상황이 종종 생기는데요. 열차 운행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레일에 물을 뿌려 식히는 살수 작업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 코레일 작업자들이 레일 온도를 낮추기 위해 물을 뿌리고 있다. [사진 코레일] |
대한항공에 따르면 현존하는 최대의 여객기인 A380이 인천공항에서 뜰 때 통상 이륙 거리는 3020m 정도 되는데요. 기온이 20도이고 바람이 불지 않는다는 조건에서입니다. 그런데 기온이 30도로 올라가면 이륙거리가 3120m로 100m가량 늘어납니다.
항공기, 기온 오르면 활주 거리 증가
활주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기름도 더 쓰게 되는데요. 무더위 속에 더 멀리 달리고 연료도 더 쓰게 되니 그만큼 능률이 떨어지는 겁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럼 이런 현상은 왜 생길까요. 비행기가 추진력을 얻는 원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통상 항공기 엔진은 활주로 주변에 있는 다량의 공기를 빨아들인 뒤 이를 여러 번의 압축과정을 거쳐 고압의 압축공기로 만듭니다.
여기에 연료를 분사해 혼합한 뒤 폭발시켜 엔진을 돌리는 힘을 얻는 건데요. 하지만 날씨가 더우면 활주로 부근의 공기밀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공기밀도는 기온이 오르면 낮아지고 기온이 떨어지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데요.
A380, 40도 때 500m 더 달려야 이륙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한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항공기 제작사에서 비행기를 만들 때 외부 온도가 30도를 넘을 경우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일부러 제한한 건데요. 고열로 인해 엔진 내 터빈 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는 설명입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천공항 4000m 활주로로 유사시 대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항공기 성능이 향상돼 웬만해서는 무게를 줄이지 않고도 조금만 더 달리면 이륙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아무쪼록 열차와 항공기 모두 기록적인 무더위 속에 안전 운항하길 기원합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앙일보 (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